항목 ID | GC04201911 |
---|---|
한자 | 奇龍里全州李氏墓碑群 |
영어의미역 | Tombs of Jeonju Yissi in Giryong-r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 251-2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유우창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주 이씨의 묘비군.
[위치]
기룡리 전주 이씨 묘비군(奇龍里全州李氏墓碑群)은 부산~울산 간 국도 제14호선의 동쪽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 하근 마을에 있는 장안초등학교와 하근교를 지나 400m 정도 가면 도로 서쪽에 위치한다. 묘역에는 무덤 2기, 기적비(紀蹟碑) 1기, 제단(祭壇) 1기가 있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 251-2번지이다.
[형태]
4기 가운데 2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숭정대부 전주 이공지묘(崇政大夫全州李公之墓)는 상석(床石)과 향로석을 갖춘 원형 봉토분이며, 봉토는 높이 98㎝, 직경 450㎝ 정도이다. 묘비가 있는데, 앞면에 글자가 새겨져 있다. 묘비는 팔작지붕 모양의 지붕돌[가첨석(加檐石)]을 얹었으며, 화강암 재질의 받침돌[대석(臺石)]이 있다. 비석의 몸체[비신(碑身)]는 너비 49㎝, 두께 30㎝이며, 비의 총 높이는 225㎝이다.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학성 이공지묘(嘉善大夫同知中樞府使鶴城李公之墓)는 상석과 향로석을 갖춘 원형 봉토분이며, 봉토는 높이 210㎝, 직경 1,200㎝ 정도이다. 묘비가 있는데, 앞면에 글자가 새겨져 있다. 비신은 너비 57㎝, 두께 28㎝이며 비의 총 높이는 235㎝이다. 비신 상단부에는 길이 57㎝, 세로 49㎝의 이수(螭首)[건축물이나 공예품 따위에 뿔 없는 용의 모양을 아로새긴 형상]가 있다. 이수에는 용이 머리를 맞대고 있는 모양을 양각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화강암 받침돌이 있다. 이들 묘의 앞쪽에 기적비와 제단이 있고, 앞면에 각기 글자가 새겨져 있다. 기적비에는 팔작지붕 모양의 지붕돌을 얹었으며, 화강암 받침돌이 있다. 비신은 너비 54㎝, 두께 23㎝이며, 비석의 총 높이는 215㎝이다. 제단은 너비 45㎝, 두께 21㎝이며, 비석의 총 높이는 195㎝이다.
[금석문]
4기의 비에는 ‘숭정대부 전주 이공지묘[숭정대부 전주 이공의 묘]’,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학성 이공지묘[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학성 이공의 묘]’, ‘효자 증숭록 이공 기적비(孝子贈崇祿李公紀蹟碑)[효자 증 숭록 이공의 기적비]’, ‘전주 이공 휘인발지단(全州李公諱仁發之壇)[전주 이인발의 단]’이라고 적혀 있다.
[현황]
묘역의 남쪽으로는 기룡천이 가로질러 흐르고 동쪽에는 해발 고도 50m 정도 되는 두 개의 언덕이 있으며, 동쪽으로 갈수록 해발 고도가 약간씩 높아진다. 묘역에는 군데군데 잡초와 억새풀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지만,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는 등 비교적 관리가 잘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에는 경주 이씨(慶州李氏)가 최초로 정착하였으며, 오래전부터 김해 김씨(金海金氏)가 가장 많이 살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전주 이씨 문중 묘는 오래전부터 조성된 묘역이 아니라 이장한 무덤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