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888 |
---|---|
한자 | 美音洞臥龍里土器散布地 |
영어의미역 | Area of Artifacts at Wayeo-ri in Mieum-do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물 산포지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 1007|1008|1009|1010|1011|1012|1013|1014|1014|1016|1017|1018|1019|1020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려/고려 |
집필자 | 이주헌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에 있는 삼국 및 고려 시대의 토기 유물 산포지.
[위치]
미음동 와룡리 토기 산포지는 강서구 미음동 분절 마을 분절 소류지 북쪽의 완만한 구릉지 일대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2005년 경남발전연구원이 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토기편과 자기편을 채집하였다.
[출토 유물]
삼국 시대부터 고려 시대에 이르는 토기편과 자기편이 다량 채집되었다.
[현황]
현재 곳곳에 민묘가 조성되어 있으며, 주변은 밭으로 경작되어 유적의 훼손이 심한 실정이다. 주민의 말에 따르면, 와룡리 아래 논밭을 조성할 때 그릇 조각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쓸모가 없어 모두 파괴하였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정식으로 발굴 조사되지 않아 유적의 정확한 성격을 알 수 없지만, 미음동과 와룡리 일대의 완만한 구릉지와 곡간 지역의 경작지를 배경으로 살았던 삼국 및 고려 시대 사람들의 주거지와 무덤군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인근의 미음동 분절 고인돌과 미음동 가마터와 같은 성격의 유적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일대에 대한 정밀 조사를 실시한다면 최소 단위의 고대 문화를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발견되리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