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787 |
---|---|
한자 | 文順敏 |
영어음역 | Mun Sunmin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박상기 |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 출신으로 명지면장을 지낸 인물.
[개설]
본적은 남평(南平). 1895년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서 태어났다.
[활동 사항]
문순민(文順敏)은 1921년 명지면사무소 서기로 취직하여 성실한 공직 근무자로 인정받았다. 상급 서기(上級書記)로 있던 중 제3대 명지면장으로 부임하자 그 당시 김해 평야의 농지 사업으로 대저 수문과 녹산 수문을 만들고 낙동강 일천식 직강 공사[낙동강, 평강천, 본류인 서낙동강의 세 갈래로 흐르던 삼차강을 한 줄기인 동낙동강으로 만들기 위해 대저 수문과 녹산 수문을 만들며 동낙동강 양쪽으로 구포 둑과 대저 둑을 높이 쌓아 홍수의 넘침을 막고자 한 공사]를 할 때 홍수와 해일에 견디기 힘든 명지를 지켜냈다.
이 사업의 성공으로 명지면은 많은 농토를 얻으면서 면민이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명지 일대가 완전히 바뀌었다. 또한 문순민은 신포에서 남쪽으로 전등, 하신, 평성을 돌아 순아도에 이르는 거대한 방조 둑을 쌓게 하고, 당시 일본인이 경영하는 명지와 하단 간 동력 나룻배 운영권도 따내어 명지면에서 운영하게 하였다. 그리고 여기에서 나는 이익으로 명지보통학교, 명지경찰취급소, 명지면사무소 청사 등을 신축하여 명지면의 재건과 발전에 선구자 역할을 하였다.
[상훈과 추모]
명지면민이 정성을 모아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223번지에 문순민 공적비를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