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762
한자 溫泉洞遺物散布地
영어의미역 Oncheon-dong site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물 산포지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16|83-2|1696|1697|1698|1699|1700|1701|1702|1703
시대 선사/청동기,고대/초기 국가 시대/삼한
집필자 이양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물 산포지
관리자 부산광역시 동래구청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73년연표보기 - 부산대학교박물관이 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간 돌칼과 야요이 토기 등을 채집함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16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83-2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1696~1703
출토 유물 소장처 국립 김해 박물관 - 경상남도 김해시 가야의길 190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물 산포지.

[개설]

부산광역시에서 야요이[彌生] 토기가 발견된 사례는 조도 조개더미, 내성 유적 등이 알려져 있다. 토기는 그 자체가 교역물은 아니다. 토기에 담겨져 있던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는 없지만, 토기와 같이 생활품을 가져오는 것은 사람의 이동일 가능성이 높다. 즉 일본 사람들이 온천동 근처에서 생활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온천동 지역의 유물 산포지는 온천천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위치]

온천동 유물 산포지동래구 온천동 산16번지, 온천동 83-2번지, 온천동 1696~1703번지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73년 부산대학교 박물관이 지표 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는데, 발견 당시 이미 대부분 파괴되어 별도의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출토 유물]

청동기 시대의 민무늬 토기와 간 돌칼을 비롯하여 삼한 시대의 야요이 토기 등이 채집되었다. 간 돌칼은 일단병식과 유경식이고, 야요이 토기는 높이 45㎝, 구경 21㎝ 정도의 대형 호형(壺形) 토기이다. 구연단(口緣端)은 평편한 면을 가지며, 동체에 돌대(突帶)가 돌아가는 특징이 있다.

[현황]

현재 온천동 유물 산포지의 일부는 도로로 되어 있고, 일부는 동래 별장 안에 있다.

[의의와 평가]

유구를 확인할 수 없지만, 작은 구릉 위에 위치하고 주변에 온천천도 흐르고 있어 생활 유적이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유물을 통해 볼 때 대체적으로 청동기 시대 후기의 송국리 문화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데, 그 시기는 청동기 시대를 중심으로 하며 삼한 시대까지의 생활 유적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