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749
한자 釜山水晶洞日本式家屋
영어의미역 The Japanese House at Sujeong-dong in Busan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홍곡로 75[수정1동 1010]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배석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43년연표보기
문화재 지정 일시 2007년 7월 3일연표보기 -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 국가등록문화재 제330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재지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1동 1010지도보기
성격 주택|일식 주택|고급 주택
양식 목조
소유자 최금연
관리자 문화유산 국민신탁
문화재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1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일본식 고급 주택.

[위치]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釜山水晶洞日本式家屋)부산광역시 동구 수정1동 1010번지에 위치한다.

[변천]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은 일본인 사업가인 다미다미노루(玉田穰)가 1943년에 지었다.

[형태]

일본식 목조 2층 건물로, 주택과 창고의 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 건물은 2층으로 건축 면적이 204.79㎡, 연면적이 332.76㎡이다. 창고는 1층으로 연면적이 12.4㎡이다. 주 건물은 3칸의 맞배지붕 대문과 남향의 몸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급 일식 주택의 의장 요소와 변화 있는 실내 공간 구성을 하고 있다. 일본 무사 계급의 전형적인 주거 양식인 ‘쇼인즈쿠리[書院造]’라는 건축 양식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쇼인즈쿠리는 13세기 중반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 시대에 손님의 방문이 많았던 무가(武家)에서 접객을 위해 만들었던 건물로부터 유래하였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자시키[座敷] 또는 와시츠[和室]라고 불린다.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에는 액자를 걸거나 도자기를 진열하기 위해 만든 2층의 도코노마[床の間]를 비롯한 내부 공간, 목조 가구, 정원 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1층과 2층 사이에 반 2층의 공간을 두어 문간방 역할을 하도록 한 것도 특징이다. 2m 가까이에 이르는 긴 석축은 돌 가장자리를 따라 한 번 더 다듬은 뒤 고급스러운 모접기 방식으로 쌓아 올렸다. 이외에 꽃 장식의 일본식 석등, 건물 모서리의 화려한 장식 등이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 고급 주택의 단면을 보여 준다.

[현황]

현재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은 건물 및 정원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2007년 7월 3일 국가등록문화재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은 근대 주택 건축사와 생활사 연구에 있어 자료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 부산 문화 관광(http://tour.busan.go.kr)
  • 부산광역시 동구 문화 관광(http://tour.bsdonggu.go.kr)
  • Wikipedia(http://ja.wikipedia.org/wiki/)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2.02 변천 내용 수정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은 일제가 전시 체제 구축에 혈안이 되었던 1939년에 부산철도청장 관사로 건립되었다.->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은 일본인 사업가인 다마다미노루(玉田穰)가 1943년에 지었다.
이용자 의견
백** 이곳은 일제강점기때 사업가 다마다 미노루(玉田穰)의 개인 주택입니다.
이 내용은 이집의 상량문에 기록되어 있으며, 문화재청과 부산광역시에서 확인되었습니다.
수정바랍니다.
참고로 일제강점기때 철도청장 관사는 이곳이 아니라, 인근에 있는 동남아파트 부지에 있었습니다.,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소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해당 내용을 바로잡았습니다.
    귀하의 의견 개진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이용 부탁드립니다.
2018.02.0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