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730 |
---|---|
한자 | -占- |
영어의미역 | Fortunetelling with Ice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기장군 정관읍 용수리 |
집필자 | 류승훈 |
[정의]
부산 지역에서 연못의 얼음이 갈라진 상태를 보고 점을 치는 풍습.
[개설]
얼음점치기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과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에서 동짓날에 못의 얼음이 갈라지는 형태를 보고 그해의 풍흉을 알아보는 점복 풍속이다. 갈라지는 얼음의 형태로 점을 치는 것은 그 곳에 용이 살고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얼음이 갈라진 형태는 물을 관장하는 용신이 갈라놓은 것이라 하여 ‘용경(龍耕)’이라 불렀다. 용은 물과 기후를 관장하므로 농사의 풍흉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신이다.
[연원 및 변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연안도호부(延安都護府)의 산천조에서는 ‘와룡지(臥龍池)’를 “속명은 남대지(南大池)이며, 부의 남쪽 3리에 있는데, 주위가 20리 1백 2보이다. 겨울철마다 못의 얼음이 세로 혹은 가로로 갈라지는데 읍 사람들이 용이 갈이[龍耕]하는 것이라 한다. 그것을 보아서 이듬해의 풍년과 흉년을 미리 점친다. 가로로 갈라지면 풍년이 되고, 세로로 갈라지면 물이 넘치고, 전혀 갈라지지 않으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본조 태종 때에 안노생(安魯生)이 그 사실을 알리니 유사(有司)를 명하여 매년 봄·가을철에 제사를 드리게 하였다.”라고 설명하였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11월 월내조에 보면 “충청도 홍주(洪州) 합덕지(合德池)에 매년 겨울이 되면 용이 땅을 가는 이상한 현상이 있었다. 그 갈아 젖힌 것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여 있으면 풍년이 들고,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운데로 향하여 있으면 흉년이 들며, 혹 동서남북이 온통 갈아 젖혀져 있으면 평년작이라고 한다.”라는 기록이 있다. 연안도호부의 남대지와 홍주의 합덕지는 백성들이 얼음점을 보는 장소였다.
[절차]
금정구 두구동과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의 주민은 얼음이 갈라지는 모양을 보면서 다음 해에 올 풍흉을 미리 예견하였다. 즉 동짓달 연못에 언 얼음이 많이 갈라져 있으면 이듬해 흉년이 든다고 믿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부산 지역에서 ‘연못의 얼음이 많이 갈라져 있으면 흉년이 든다고 점치는 것’은 유감 주술에 기초한 점복법이다. 즉 연못이 많이 갈라진 상태를 논이 가뭄으로 마르고 갈라짐으로써 흉년이 될 것이라고 보는 점복이다. 부산 지역의 얼음점은 농사를 주요한 생업으로 여기는 농업 사회에서 미리 풍흉을 예상해 보고, 풍년을 기원하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