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656
한자 姜必履
영어음역 Gang Pilri
이칭/별칭 석여(錫汝),경독자(耕讀子)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112번길 61[수안동 421-5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화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진주
대표관직 동래 부사|승정원 동부승지
출생 시기/일시 1713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47년 - 문과 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762년 - 삭탈관직됨
활동 시기/일시 1764년연표보기 - 동래 부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766년 - 온정 개건비 건립
활동 시기/일시 1767년 - 승정원 동부승지,대사간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767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강진 - 전라남도 강진군
부임|활동지 동래부 동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421-21지도보기
묘소|단소 강필리 묘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관련 유적 강필리 거사단 -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

[정의]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가계]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석여(錫汝). 할아버지는 강석제(姜碩齊)이고, 아버지는 진사 강선(姜橏)이다. 어머니는 윤욱(尹勖)의 딸이고, 부인은 권부(權扶)의 딸이다.

[활동 사항]

강필리(姜必履)[1713~1767]는 충청남도 당진에서 태어났다. 1747년(영조 23)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767년(영조 43) 세상을 뜰 때까지 20여 년 동안 관직에 있었다. 1762년(영조 38) 지평으로 사도 세자(思悼世子)를 옹호하다가 삭직되었으나 곧 복관되어 도당록(都堂錄)[홍문관 교리 등을 임명하기 위한 2차 선거 기록]에 이름을 올렸다. 얼마 후 홍문관 교리를 거쳐, 남양 어사(南陽御使)·강화 순심어사(江華巡審御使)가 되었다.

1764년(영조 40) 동래 부사로 나갔다. 동래 부사 재임 시 쓰시마[對馬島]에서 들여온 고구마에 관심을 갖고, 처음으로 재배에 성공하였다. 이에 강필리고구마 재배를 널리 권장하기 위해 『감저보(甘藷譜)』를 지었다. 또한 동래 온천을 대대적으로 개축, 정비하였다. 웅장한 9칸 건물을 짓고, 뜨거운 물이 솟는 온정(溫井)을 뚫었으며 탕도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나누었다.

[학문과 저술]

고구마 재배법을 소개한 『감저보』를 저술하였다. 고구마는 수확량이 많고, 맛이 좋으며, 흉년에 쌀을 대신할 수 있고, 술을 담글 수 있는 등 13가지 장점을 들고, 여러 가지 재배법도 소개하고 있다.

[묘소]

강필리의 묘소는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 백마산에 있었다.

[상훈과 추모]

강필리의 송덕비인 온정 개건비(溫井改建碑)가 1766년(영조 42)에 건립되어 현재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금강 공원에 보존되어 있다. 또한 강필리 거사단(姜必履去思壇)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에 있다. 거사단은 역사적으로나 정신사적으로 나라와 지역 사회에 큰 공을 쌓은 이들을 공적으로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6.04.27 내용 수정 강필리는 충청남도 당진에서 태어났다. .... 강필리의 묘소는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 백마산에 있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