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유신 청덕선정만고불망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651
한자 李裕身淸德善政萬古不望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Honoring the Virture of Yi Yusin
이칭/별칭 부사 이공유신 청덕선정만고불망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1160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신명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양식 석비
관련인물 이유신(李裕身)
재질 석재
크기 151㎝[높이]|53㎝[너비]
소유자 부산광역시청
관리자 부산광역시청
건립 시기/일시 1757년연표보기 - 이유신 청덕선정만고불망비 건립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698년연표보기 - 이유신 출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755년 12월연표보기 - 이유신 동래 부사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756년 10월연표보기 - 이유신 동래 부사 퇴임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1160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조선 후기 동래 부사 이유신(李裕身)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개설]

『문과 방목(文科榜目)』에 의하면 이유신[1968~?]은 본관은 함평(咸平)이며, 아버지는 이준상(李寯相)이다. 1755년(영조 31) 12월에 동래 부사에 임명되었다가, 1년여 후인 1756년(영조 32) 10월 부사직(副司直)에 임명되면서 교체되었다.

[건립 경위]

이유신은 쓰시마 섬[對馬島]에 표류한 경주 어민들이 송환되도록 주선하였고, 동래의 별기위(別騎衛) 300명에게 복시(覆試)를 면제해 줄 것을 조정에 요청하였다. 이러한 이유신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1757년(영조 33) 이유신 청덕선정만고불망비(李裕身淸德善政萬古不望碑)가 건립되었다.

[위치]

이유신 청덕선정만고불망비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1160번지에 있다.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미남 로터리에서 만덕 제2 터널 300m 전 오른쪽 길가의 덤불에 있다.

[형태]

비석은 일반적인 양식을 벗어난 특이한 형태로, 자연 암석에 비면(碑面)을 다듬어 만들었다. 비석의 크기는 높이 151㎝, 너비 53㎝이다.

[금석문]

비의 제목은 ‘부사 이공 유신 청덕선정만고불망비(府使李公裕身淸德善政萬古不忘碑)’이며 ‘세정축동 북면 문병희(歲丁丑冬 北面 文秉喜)[정축년 겨울 북면 문병희]’라고 적혀 있다.

[현황]

부산광역시에서 소유,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유신 청덕선정만고불망비는 18세기 동래 부사로 재직한 이유신의 선정을 알려 주는 금석문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