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주 도회 좌통 지도』 「동래부 지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647
한자 慶州都會左通地圖東萊府地圖
영어의미역 Gyeongju Dohwoe Jwatong Map of Dongnae-bu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변광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소유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현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원소재지 창덕궁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정의]

18세기에 제작된 『경주 도회 좌통 지도』에 수록된 동래부 지도.

[개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경주 도회 좌통 지도(慶州都會左通地圖)』는 경주를 중심으로 경상좌도(慶尙左道)의 18개 군현을 표기한 지도로서, 그중 『경주 도회 좌통 지도(慶州都會左通地圖)』 「동래부 지도(東萊府地圖)」는 18세기 중엽 동래부를 그린 지도이다.

[형태 및 구성]

『경주 도회 좌통 지도』 「동래부 지도」는 채색 필사본으로 제작되었으며, 크기는 가로 73㎝, 세로 95㎝이다. 읍치를 중심으로 고을 내의 읍내면을 비롯하여 동면, 남면, 북면, 동평면, 사천면 등 각 면의 위치와 경계를 우선 구분해 놓고, 읍성 북쪽을 끼고 있는 안현(鞍峴)과 남쪽의 황령산(荒嶺山) 등 동래부 내의 주요 산세와 범어천 등 주요 물길을 표시하였다. 또 동래부 관아의 객사(客舍), 아사(衙舍), 충렬사(忠烈祠)를 비롯하여 동래 향교, 사직단(社稷壇), 여단(厲壇) 등 주요 공공시설, 범어사(梵魚寺)·백양사(白楊寺) 등 주요 사찰, 겸효대(謙孝臺) 등 주요 명승지 등을 명시하였다. 지도 윗부분에는 동래 읍성과 금정산성의 성곽, 민호, 각색군(各色軍)과 중군·천총, 각종 세미와 왜인에 지급할 재정, 전답과 역참 등에 관한 정보를 기록해 놓았다.

[의의와 평가]

『경주 도회 좌통 지도』 「동래부 지도」는 18세기 중엽 영조 대에 제작된 대표적인 채색 지도로서 제작 기법과 구도가 우수한 동래부 고지도이다. 특히 좌수영(左水營), 부산진(釜山鎭), 왜관(倭館) 등 수군 진영과 대일 관계 목적의 일본인 거주 시설이 눈에 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