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주 도회 좌통 지도』 「기장현 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646
한자 慶州都會左通地圖機張縣地圖
영어의미역 Map of Gijang-hyeon in Map of Gyeongju Dohoe Jwat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변광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소유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현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원소재지 창덕궁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정의]

18세기에 제작된 『경주 도회 좌통 지도』에 수록된 기장현 지도.

[개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경주 도회 좌통 지도(慶州都會左通地圖)』는 경주를 비롯하여 18개 고을과 경상도 전도가 수록되어 있다. 하천의 유로, 산줄기 및 수록된 지명을 볼 때 『해동지도(海東地圖)』와 거의 동일하게 그려져 있다.

[형태 및 구성]

『경주 도회 좌통 지도(慶州都會左通地圖)』 「기장현 지도(機張縣地圖)」는 채색 필사본으로 제작된 고지도로서, 가로 73㎝, 세로 95㎝의 비교적 대축척으로 제작되었다. 지도가 배접되어 있으나 중앙부의 일부가 훼손되었다. 읍성이 사각형으로 표현되어 있고, 성안에는 붉은색으로 읍치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으며 면 지명은 황색의 사각형으로 채색되어 있다.

읍치를 중심으로 현 내의 동면, 남면, 중북면, 하북면, 하서면, 상서면 등 6개 면의 위치와 경계를 우선 구분해 놓고, 불광산(佛光山) 등 현 전체의 산세와 주요 산명 및 하천의 물길을 표시해 놓았다. 또 기장 관아의 객사(客舍), 창사(倉舍), 아사(衙舍)를 비롯하여 기장 향교, 여제단(厲祭壇) 등 주요 공공시설, 장안사(長安寺) 등 주요 사찰, 주요 마을과 명승지 등을 명시하였다. 지도 윗부분에는 기장현 성곽과 민호, 각 군과 보인, 군향미와 전답 등에 관한 정보를 자세히 기록하였다.

[의의와 평가]

『경주 도회 좌통 지도』 「기장현 지도」는 18세기 중엽 영조 대에 제작된 대표적인 채색 지도로서 제작 기법과 구도가 우수한 기장현 고지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