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539 |
---|---|
한자 | 萬送院送使記錄 |
영어음역 | Mansongwon Songsa Girok |
영어의미역 | Record of Lawsuits at Mansongwo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성일 |
[정의]
조선 후기 동래에 파견된 사선(使船)의 왕래에 관하여 대마도 사신이 작성한 기록.
[개설]
일본에서 해마다 조선에 파견한 사신, 즉 연례 송사(年例送使)의 하나가 만송원 송사이다. 이들을 만송원 송사라고 부르는 것은, 대마 도주 소 요시토시[宗義智]가 죽은 뒤 만송원(萬松院)이라는 원당(院堂)을 세웠는데, 이곳에서 동래로 가는 도항 허가증에 해당하는 도서(圖書)를 발급하였기 때문이다. 만송원 송사에게 도서가 발급된 것은 1614년 일이며, 1622년에 처음으로 동래에 들어왔다. 이들에 대한 기록이 『만송원 송사 기록(萬送院送使記錄)』이다.
[편찬/간행 경위]
일본은 1624년부터 만송원 송사 일행에 대한 기록을 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메이지[明治] 시대에 이르기까지 대마도(對馬島)가 조선에 파견한 사신의 기록이 남게 되었다. 그리고 1705년에 대마도가 조선에 파견하는 연례 송사와 사이한[裁判], 이치다이칸[一代官]이 작성해야 할 기록의 형식에 관한 규정이 정해졌다. 이로써 일본의 사신은 조선으로 파견 명령을 받은 날부터 대마도 후츄[府中]로 돌아갈 때까지 곳곳에서 있었던 일을 자세하게 기록으로 남기게 되었다.
[형태/서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는 대마도 종가 문서(對馬島宗家文書) 기록류 중에 포함된 『만송원 송사 기록』은 No. 2323부터 No. 2425까지 모두 103책이다. 가장 빠른 시기의 것은 교호[享保] 7년[1722]에 작성되었다. 가장 늦은 시기의 것은 게이오[慶應] 2년[1866]부터 3년[1867]까지이다. 분량은 제각각이어서 가장 많은 것은 130매가 넘기도 하고, 가장 적은 것은 9매가 안 되는 것도 있다.
그런데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는 것은 부산이사청(釜山理事廳)에 보관되어 있던 『만송원 송사 기록』에는 들어 있지 않은 것들이다. 이것을 보면 원래는 한 곳에 있었던 기록물이 여러 기관에 분산 소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덕 이년 만송원 송사 기록(正德二年萬松院送使記錄)』[국사편찬위원회 고서 번호 B 13 J 37]에 “부산이사청(釜山理事廳)에 보관된 기록 …… ”이라는 내용을 통해 이러한 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부산이사청에 보관된 것은 어떻게 되었는지는 현재 확인할 길이 없다.
[구성/내용]
다이쇼[大正] 14년[1925] 조선사편수회(朝鮮史編修會)가 작성한 『정덕 이년 만송원 송사 기록』에 따르면, 부산이사청에 보관된 기록 중에 『만송원 송사 기록』이 남아 있는 해는 다음과 같다.
호에이[寶永] 2년[1705], 7년[1710], 쇼토쿠[正德] 2년[1712], 3년[1713], 6년[1716], 교호[享保] 6년[1721], 9년[1724], 11년[1726], 12년[1727], 13년[1728], 17년[1732], 20년[1735], 겐분[元文] 원년[1736], 2년[1737], 3년[1738], 간포[寬保] 원년[1741], 엔쿄[延享] 원년[1744], 간엔[寬延] 4년[1748], 호레키[寶曆] 8년[1758], 9년[1759], 11년[1761], 메이와[明和] 5년[1768], 안에이[安永] 4년[1775], 텐메이[天明] 8년[1788], 간세이[寬政] 원년[1789], 2년[1790], 3년[1791], 8년[1796], 10년[1798], 분카[文化] 4년[1807], 5년[1808], 분세이[文政] 6년[1823], 7년[1824], 텐포[天保] 9년[1838], 10년[1839], 11년[1840], 14년[1843], 고카[弘化] 2년[1845], 가에이[嘉永] 2년[1849], 4년[1851], 6년[1853], 안세이[安政] 3년[1856], 겐지[元治] 원년[1864] 등이다.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는 『만송원 송사 기록』[No. 2333]을 보면, 표지에 기록 연대와 정관(正官), 도선주(都船主), 봉진(封進)의 성명이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만송원 송사로서 임명되어 조선에 파견 명령을 받은 것부터 기록이 시작된다. 그 뒤에는 언제 후츄를 출발하여 어디 어디를 거쳐 갔으며, 언제 선박과 짐 검사가 이루어졌는지까지 기록하였다.
대마도 북쪽 끝에 있었던 관소(關所)를 출항하여 바다를 건너 조선에 닿은 날부터 조선에서 있었던 일을 적었다. 행렬의 모습, 제공 받은 요리와 예물 등 외교 의례와 관련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사행의 목적을 완수하고 조선에서 출항하여 후츄로 되돌아온 날까지 기록이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만송원 송사 기록』은 일본의 대마도가 해마다 정기적으로 조선에 파견하였던 연례 송사의 하나인 만송원 송사의 도항과 조선 측의 접대 내용을 살필 수 있는 기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