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216
한자 回東洞墳墓群
영어의미역 A Group of Tomb Sites in Hoedong-d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 산34-35|산42
시대 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신은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분묘군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4년연표보기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가 지표 조사를 실시함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가 지표 조사 보고서를 발간함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 산34~35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 산42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에 있는 고려 및 조선 시대의 분묘군.

[위치]

회동동 분묘군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 산34~35번지, 회동동 산42번지에 위치한다. 회동동 산42번지에 있는 분묘군은 부산광역시 건설안전시험사업소 사원 아파트 동쪽 구릉에 수십 기의 봉토분이 밀집 분포하고 있고, 수령 50년 정도 된 소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회동동 산34~35번지에 있는 분묘군은 회동동 산42번지 분묘군의 동북쪽에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2004년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가 동서 부산권 연결 도로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용역을 받아 지표 조사를 실시하였고, 『문화재 지표 조사 결과 보고서-동·서 부산권 연결 도로 타당성 검토 용역』을 발간하였다. 출토된 유물은 없다.

[형태]

회동동 산34~35번지 분묘군에서는 3기의 봉토분을 확인할 수 있고, 회동동 산42번지 분묘군에서는 다수의 분묘가 밀집 분포되어 있다. 다만 이 가운데 상당수는 봉토가 깎여 평지가 된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정식으로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유적의 정확한 성격을 알 수 없다. 그러나 유실된 봉토(封土)의 흔적을 보아 회동동 일대의 곡간(谷間) 지대에서 농사를 지으며 생활하였던 조선 시대 일반 사람들의 민묘로 추정된다. 이는 이 지역의 사회와 문화의 기초 단위를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정식으로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고려 및 조선 시대 동래 주민들의 일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2.21 영문항목명 표기 수정 Hwadong-dong -> Hoedong-dong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