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022
한자 久瑞洞遺蹟
영어의미역 Remains in Guseo-dong|Guseo-dong site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1893번길 13[구서동 248]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삼한
집필자 이양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적
관리자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75년연표보기 - 부산대학교 박물관이 발굴 조사를 실시함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248
출토 유물 소장처 부산대학교 박물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30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삼한 시대 후기의 유적.

[위치]

구서동 유적금정산이 서에서 동으로 완만히 뻗은 구릉의 55m 정도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75년 부산대학교 박물관이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으나 택지 조성 공사로 인해 유적지가 파괴되어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였다. 삼한 시대 전기의 와질 토기가 확인되어 당시 명확하지 않았던 삼한 시대의 토기에 대한 일단의 증거를 확인하였다.

[출토 유물]

토기 8점, 철기와 석기가 각 1점, 굽은 옥[곡옥(曲玉)] 1점 등 모두 11점이 채집되었다. 토기는 주머니호(壺) 3점, 완(碗) 1점, 단경호(短頸壺)[둥근 몸통에 짧은 목이 달린 토기]1점, 기대(器臺) 1점, 옹(甕) 2점이다. 주머니호, 완, 단경호, 기대는 와질 토기이며, 옹은 단면 삼각형 점토대 토기(單面三角形粘土帶土器)이다. 기대는 와질 토기로 경상북도 경산시 임당동 A-I-135호 널무덤에서 동일한 것이 출토된 바 있다.

[현황]

현재 삼성파크, 현대자동차 금정지점 등 주택 단지가 들어서 있어 유적의 흔적을 찾기는 어렵다.

[의의와 평가]

구서동 유적은 무른 환원염(還元焰) 토기인 와질 토기가 확인되어, 1~3세기 삼한 시대의 토기 문화를 밝혀내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