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치안사령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944
한자 釜山治安司令部
영어의미역 Busan Public Safety Headquarters
이칭/별칭 건준 치안대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철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회단체
설립자 강대홍
설립 시기/일시 1945년 9월 6일연표보기 - 발족
해체 시기/일시 1945년 9월 중순 이후연표보기 - 미군정 실시로 해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5년 9월 4일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경남본부 연합치안대 결성
최초 설립지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정의]

광복 직후 부산 지역에 있었던 치안 유지 단체.

[설립 목적]

부산치안사령부 발족의 기반이 된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경남본부 연합치안대 결성 당시 채택한 ‘강령’과 ‘선언’에서는 부산을 비롯한 경상남도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전하며 기타 치안 유지에 협력하여 건국 준비에 공헌’할 것을 그 목적으로 명시하였다. 따라서 부산치안사령부 역시 같은 설립 목적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변천]

1945년 8월 17일 동래 동운관(東雲館)에서는 조건건국준비위원회 경남지부 발기 총회가 개최되었다. 이날 위원장을 비롯한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경남지부 본부[이하 경남본부]의 기구와 간부도 결정되었으며, 그중 치안부는 배덕수가 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경남본부 치안부는 보다 효율적인 치안 유지를 위하여 기존에 각 지역에서 활동 중이던 다양한 치안대를 통합할 필요성을 느꼈고, 이는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경남본부 연합치안대’의 결성으로 이어졌다.

1945년 9월 4일 부산의 초량상업학교 강당에서 부산 시내 중등학교 3학년 이상의 학생을 비롯하여 졸업생·유학생·교원회·귀환병 등 약 1,000여 명이 모여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경남본부 연합치안대 결성식을 개최하고, 강령과 선언문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이틀 뒤인 9월 6일 ‘부산치안사령부’[치안사령 강대홍(姜大洪)]를 조직하였다. 그러나 9월 16일 미군 선발대가 부산에 진주한 이래 본격적으로 미군정이 실시되면서 조선인에 의한 자치적 행정 기구와 치안 조직이 부정 당하자, 부산치안사령부 역시 해체된 것으로 보인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결성 당시 부산치안사령부의 부서와 역원은 치안사령 강대홍 이하 사령대리 최갑환(崔甲煥), 총무 황명석(黃命碩)·김주엽(金周燁), 정보 김홍태(金弘泰)·김갑수(金甲守, 金甲壽), 선전 장성업·강수택(姜壽澤), 이재 송세동·구성회, 별동대 김성도·박정준 등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활동 사항은 말 그대로 치안 유지에 관련된 것으로, 시민의 생명과 재산의 보호, 경제 조정, 부정 매매 취체, 풍기 단속, 가로 청소, 외국인의 생명·재산 보호, 치안대를 빙자한 각종 범죄의 예방 등 기존의 치안대 활동에다, 미군 진주 후 자치 자생력을 보여주기 위하여 상급 조직으로서 각종 치안 조직들을 통합하여 일괄 통제하는 업무도 추가되었다. 부산치안사령부는 이전의 치안협력회, 역전치안대, 청년대, 학도대, 귀환병, 건국대, 각 별동치안대 등을 해체하고, 부산을 새로 15개 지부로 개편하였다. 이때 치안 대원들은 흑색의 완장을, 학도대는 종래의 청색 완장을 그대로 두르게 하여 효율을 기하였다.

[의의와 평가]

부산치안사령부와 그 아래의 여러 치안대들은 해방 후 부산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조직한 단체들로, 일제로부터의 갑작스러운 해방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혼란을 막고 치안 유지와 시민의 생명·재산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친일파나 일제 강점기 관료들을 배제하고 시민들에게 신망을 받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조직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가 높다고 하겠다. 하지만 미군정은 부산치안사령부를 비롯한 각종 치안대를 불법 단체로 지목함으로써 자발적인 주민 조직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는 향후 미군정과 민중들의 정면충돌로 이어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