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753
한자 崔斗高
영어음역 Choe Dugo
이칭/별칭 인산(仁山)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성로 16[전포3동 358-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종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육가|정치인
성별
본관 경주(慶州)
대표경력 동성학원 이사장
출생 시기/일시 1921년 8월 10일[음]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43년 3월 - 진례공립보통학교 교사로 부임
수학 시기/일시 1943년 8월 - 진주사범학교 연구과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53년 - 신흥대학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60년 - 부산대학 문학 석사
활동 시기/일시 1952년 6월 25일 - 동성학원 설립
활동 시기/일시 1952년 7월 - 동성고등학교 교장에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56년 - 동성중학교 교장에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56년 - 신민학원 인수
활동 시기/일시 1962년 - 인산학원 설립
활동 시기/일시 1963년 9월 - 동성학원 이사장에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63년 11월 - 제6대 국회 의원에 당선
활동 시기/일시 1967년 6월 - 제7대 국회 의원에 당선
몰년 시기/일시 2007년 8월 16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부산광역시 사상구
거주|이주지 부산광역시
거주|이주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학교|수학지 진주사범학교 - 경상남도 진주시
학교|수학지 신흥대학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학교|수학지 부산대학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30지도보기
활동지 진례공립보통학교 - 경상남도 김해군 진례면
활동지 동성학원 - 부산광역시
활동지 부산동성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3동 358-8지도보기
활동지 동성중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3동 358-8지도보기
활동지 대한민국 국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활동지 대한민국 헌정회 - 서울특별시
묘소 솥발산 공원묘원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답곡리 산173

[정의]

부산 출신의 교육가이자 정치인.

[가계]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인산(仁山). 1921년 8월 10일[음력]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태어났다. 아내 김복련과의 사이에 아들 최상진·최상용[최상룡]·최춘·최상돈, 딸 최은숙·최진숙·최미라 등 4남 3녀를 두었다.

[활동 사항]

최두고(崔斗高)는 1943년 3월 경상남도 김해군에 있는 진례공립보통학교[현 진례초등학교]에 교사로 부임하였다. 그 해 8월 말 최두고는 진주사범학교[현 진주교육대학교] 연구과의 6개월 코스에 입학하여 이듬해에 수료하였다. 1953년 6·25 전쟁으로 부산에 가교사를 개설한 신흥대학[현 경희대학교]을 졸업하고, 1960년 부산대학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한편, 최두고는 1952년 6월 25일 학교법인 동성학원을 설립하고, 7월에 부산동성고등학교를 개교하여 초대 교장에 취임하였다. 1956년 동성중학교를 분리하면서 동성중학교 교장을 겸임하였다. 이 해 학교법인 신민학원을 인수하여 동성학원에 편입하고, 이듬해인 1957년 2월 신민여자중학교를 덕명여자중학교로, 1958년 3월 신민여자고등학교를 덕명여자상업고등학교[현 부산마케팅고등학교]로 개칭하였다. 1962년 유아 교육과 초등 교육을 전담하는 학교법인 인산학원을 설립하여 동성학원에서 분리하였다. 1963년 9월 25일 최두고는 동성학원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이즈음 최두고는 5·16 군사 쿠데타 이후 탄생한 민주공화당[약칭 공화당]에 입당하여 정치 일선에 나섰다. 1963년 최두고는 11월 26일 실시된 제6대 국회 의원 선거에 부산진 을 지역구에 민주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제6대 국회에서 그는 건설위원회 위원장, 공화당 중앙당 사무차장으로 활동하였다. 1967년 6월 8일 실시된 제7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다시 공화당의 공천을 받아 당선되었다.

제7대 국회 의원을 끝으로 정계에서 은퇴한 최두고는 사단법인 대한민국 헌정회의 이사를 역임하였다. 한편 서도(書道)에 정진하여 서울에서 전시회를 개최한 것을 비롯하여, 1987년 4월 27일부터 미국 뉴욕과 워싱턴 등지에서도 서도전을 개최하였다. 2007년 8월 16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저작으로 『동해(東海)』, 『김동인고』, 『해는 다시 돋는다: 동남아 본 대로 느낀 대로』[동아출판사, 1965], 『기적 없는 땅들』, 『인산잡기』, 『속인산잡기』, 『길은 멀어도』, 『인산회고록』, 『양지를 향한 마음』[동성학원, 1990], 『남기고 싶은 이야기』[육일문화사, 1997] 등이 있다.

[묘소]

묘소는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답곡리 산173번지의 솥발산 공원묘원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