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473 |
---|---|
한자 | 眞宰畵集永嘉臺 |
영어의미역 | Collection of Jinjae’s Paintings |
이칭/별칭 | 『진재 화첩』「영가대」,『영남 기행 화첩』「영가대」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현주 1 |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후기 화가 김윤겸(金允謙)의 『진재 화집』에 수록된 영가대 산수화.
[개설]
『진재 화집(眞宰畵集)』 「영가대(永嘉臺)」는 지본 담채로 그려진 14폭의 『진재 화집(眞宰畵集)』 가운데 한 작품이다. 『진재 화집』은 김윤겸이 1770년(영조 46) 소촌도 찰방(召村道察訪)을 지낼 당시 진주를 중심으로 한 영남 일대를 기행하고 그린 산수 화첩이다. 홍류동(紅流衕), 해인사(海印寺), 송대(松臺), 가섭암(迦葉庵), 가섭동폭(迦葉衕瀑), 월연(月淵), 순암(蓴巖), 사담(蛇潭), 환아정(換鵝亭), 하룡유담(下龍游潭), 극락암(極樂庵) 등 합천, 거창, 함양, 산청 지역뿐 아니라 몰운대(沒雲臺), 영가대(永嘉臺), 태종대(太宗臺) 등 부산[동래]의 명승지를 포함해 총 14장의 진경산수화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기행지들은 대부분 『동래 부지(東萊府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과 당시의 문집에서 확인되듯이 예로부터 뛰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지역의 명소임을 알 수 있다. 『진재 화집』에 수록된 다른 두 지역은 경관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영가대는 조선 시대에 부산진성 앞[지금의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진시장 뒤편 철도변]에 위치하였으나 지금은 자취를 찾아볼 수 없다. 『진재 화집』은 2004년 10월 4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6호로 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진재 화집』의 각 화폭 규격은 일정하지 않아, 세로 27.3~31.1㎝, 가로 21.1~47.6㎝로 다양한데, 그중 『진재 화집』 「영가대」는 세로 29.6㎝, 가로 47.6㎝이다. 동아대학교 박물관에서 자체적으로 시행한 경우까지 포함해 세 번의 표구 과정을 거치면서 각 작품의 크기가 달라졌을 터이나 화면의 경물 배치, 화제와 관지의 위치상 원래부터 동일한 크기는 아닌 듯하다.
현재 『진재 화집』의 표지에는 ‘진재 화집(眞宰畵集)’이라 쓰여 있으며, 첫 장에는 동아대학교에서 따로 ‘진재 선생 필(眞宰先生筆)’이라는 묵서를 더하였다. 원래의 화집은 펼쳤을 때 양 화면 전체에 하나의 그림을 그린 것인데, 현존하는 것은 각각 펼쳐서 한 페이지에 한 작품씩 경접장(經摺裝)[쌍엽 단면 인쇄] 형식으로 표구한 것이다. 『진재 화집』 「영가대」는 현재의 표구 상태로 보아 제2폭에 해당된다.
[특징]
T자형 나무가 무성한 산세들로 둘러싸인 넓은 수면을 중심에 두고, 약간 좌측으로 낮은 구릉의 영가대가 보인다. 수묵의 필법 아래로 푸른 선염(渲染)[화면에 물을 칠해 마르기 전에 색을 입히는 기법]이 돋보이며 근경의 잔잔한 수면과 원경의 산에도 수채화 같은 선명한 선염으로 처리하여 밝은 느낌을 준다. 이처럼 T자형의 수지법(樹枝法)[나무의 뿌리·줄기·가지·잎 등의 표현 기법]이나 푸른 파도의 물결 묘사 등은 진경산수화풍으로 여겨지나, 필법을 억제하고 선염의 농담으로 화면 전체에 수채화 같은 느낌이 들게 묘사한 점은 진재화풍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김윤겸의 『진재 화집』은 영남 지방의 명승지를 그린 몇 안 되는 대표적인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진재 화집』 「영가대」는 통신사 일행이나 동래 부사 등 서화에 조예가 깊었던 인물들이 다녀갔던 곳으로, 대일 교섭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지리적 장소였으나 실존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 실경을 확인하는 역사적 고증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또한 정선화풍에서 완연하게 벗어난 김윤겸 만년의 득의작으로서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