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영남도』 「동래부 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455
한자 嶺南圖東萊府地圖
영어의미역 Map of Dongnae-bu in Yeongnam-do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관리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정의]

조선 후기 『영남도』에 삽입된 동래부 지도.

[형태 및 구성]

『영남도(嶺南圖)』 「동래부 지도(東萊府地圖)」는 채색 필사본으로 되어 있으며 군현 지도로서는 드물게 대축척 지도이다. 책 크기는 33.0㎝, 가로 19.5㎝이나 펼치면 세로 약 110㎝, 가로 약 80㎝이다. 표지는 능화판으로 되어 있다. ‘이왕가도서지장 쌍호정 인(李王家圖書之章雙湖亭印)’이 있다. 원래 4권으로 구성되어 있던 것으로 보이나 3질만 남아 있다. 3책 61도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도상(右道上)은 16도엽, 우도하(右道下)는 15도엽으로 구성된다. 좌도상(左道上) 20도엽, 좌도하(左道下)는 결본이다.

각 지도의 상단에 군현 명에 이어 매우 상세한 주기가 지재되어 있다. 그 내용은 읍성의 둘레, 한양으로부터의 거리, 사방 강계, 각 면의 지명 및 읍치로부터의 거리, 향교, 서원, 봉산, 원, 험애, 요로, 진도, 기묘 민호, 각종 군정의 수, 토지 면적, 환곡의 순서로 기재되어 있다. 인구 통계 수치는 1759년(영조 35)인 기묘식(己卯式) 민호를 기준으로 모든 군현에 기록되어 있어 제작 시기를 1760년대로 추정할 수 있다. 창원과 남해 등의 일부 지도의 뒷면에 ‘비변사’ 도장이 있어 비변사에서 제작한 지도임을 보여준다. 동래부의 지도는 전체 크기와 윤곽 및 주기 여부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비변사 지도(備邊司地圖)』와 유사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특징]

『영남도』 「동래부 지도」는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본에 비해 주기가 더욱 상세하게 기입되어 있고, 영도의 표현이 다르다. 특히 영도가 북서-남동으로 『해동 지도(海東地圖)』와 유사한 방향으로 묘사된 것이 특이하다. 영도 남쪽에 분도와 목도가 상세하게 묘사된 것이 같은 계열의 『각읍 지도(各邑地圖)』와 유사하다. 좌수영성 등 일부 지역의 경우 산세도 규장각 본에 비해 매우 상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18세기 비변사에서 제작된 지도의 특징과 함께, 각 군현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지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