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190 |
---|---|
한자 | 海東地圖東萊府地圖 |
영어의미역 | Map of Dongnae-bu in Haedong Jido[Map of Korea]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기혁 |
[정의]
18세기 중엽에 제작된 『해동 지도』에 수록되어 있는 동래부 지도.
[개설]
『해동 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으며,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해동 지도』는 370종의 지도를 8첩에 수록한 관찬 회화식 군현 지도집으로, 세로 47.5㎝, 가로 30㎝의 지도책에 일정한 규격의 지도들이 그려져 있다. 주기를 지도 이면에 기록하지 않고 여백에 기록해 지지(地誌)적인 내용을 지도와 동시에 살펴 지역 파악이 한 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전국 각 고을과 주요 관방처들을 일정한 규격으로 그렸으나, 채색과 산지의 표현 등 지도를 그린 기법, 주기의 내용, 형식들이 도별로 상이하다.
『해동 지도(海東地圖)』 「동래부 지도(東萊府地圖)」에서 산줄기의 경우 계명봉부터 시작하여 세 줄기로 표현되고 있다. 서쪽 산줄기는 금정산성을 거쳐 다대포로, 동쪽 산줄기는 해운대 장산으로 이어지고 있다. 동래 읍치의 산줄기는 계명산에서 남하하여 진산인 윤산(輪山)을 경유하여 안현(鞍峴)으로부터 다시 청룡, 백호 줄기가 묘사되어 있다. 물줄기는 범어사로부터 남류하다가 부의 서쪽에서 읍치 앞을 흘러 수영천과 합류하여 수영만으로 유입하고 있다. 남쪽에 있는 배산이 안산(案山)[풍수지리에서 집터나 묏자리의 맞은편에 있는 산] 역할을 하는 명당으로 묘사되어 있다.
[특징]
『해동 지도』 「동래부 지도」에서 동래 읍성의 성곽 표현은 생략되어 있는데, 이는 1732년부터 시작된 동래 읍성의 개축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성내에는 객사, 아사, 식파루, 석빙고와 향교 등이 표시되어 있다. 충렬사가 성 밖에 있으나 농주산에 충렬별사가 표시되어 있어 1742년 농주산 전망 제단을 이곳으로 옮기기 전의 내용을 그린 것으로 보인다.
읍성 성곽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반면 금정산성, 좌수영성, 부산진성의 경우 성곽이 표현된다. 금정산성에는 중성의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1702년 금정산성 개축] 장대, 공해, 국청사, 해월사의 지명이 표현되어 있다. 좌수영성과 부산진성에는 동래 읍치로부터의 거리가 기재되어 있다. 왜관이 그려져 있고 부근에 연향청과 설문(設門)이 묘사되어 있다. 이외에 고읍성(古邑城)이 배산과 황령산 중간에 표시되어 현재 육군 통합 병원 자리임을 보여준다.
오해야항의 위치는 지금의 대티 고개 부근에 표현되어 있다. 부산 고지도에서는 오해야항이 석포 쪽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와 지금의 대티 고개 쪽에 그려져 있는 경우가 나타나나, 정확한 위치는 대티 고개 쪽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주기에는 동래부 읍성의 크기, 호구 수, 인구수 등과 곡물, 각 면의 위치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해동 지도』 「동래부 지도」는 조선 후기에 그려진 회화식 군현 지도 중 대표적인 지도로, 당시 동래부의 지역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