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433
한자 辛祐彦
영어음역 Shin Ueon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 195-46[온천1동 산13-3]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김경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화예술인
성별
대표경력 중요 무형 문화재 제18호 동래 야류 예능 보유자
출생 시기/일시 1899년 2월 11일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69년 -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연출 및 지휘자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70년 8월 26일연표보기 - 중요 무형 문화재 제18호 동래 야류 예능 보유자[연출 부문] 지정
몰년 시기/일시 1980년 4월 8일연표보기 - 신우언 사망
출생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거주|이주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활동지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1동 산13-3지도보기

[정의]

부산 출신의 「동래 야류」 예능 보유자.

[활동 사항]

신우언(辛祐彦)[1899~1980]은 대부분의 「동래 야류」 전승자들과 마찬가지로 동래 출신이다.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다가 동래보통학교에 입학하였고, 명륜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45년까지 생업으로 잡화상을 경영하였으며, 1949년에는 동장직을 맡기도 하였다. 1969년 사단법인 부산민속예술보존회의 연출 및 지휘자로 선임된 이래 「동래 야류」의 연출과 그 전승에 힘썼다.

동래 토박이인 신우언「동래 야류」 외에도 지역의 여타 민속 예술의 고증과 전승에 관심이 많았다. 1975년 9월 13일 서울 공설 운동장에서 열린 제16회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에서 부산직할시 대표로 지신밟기를 공연할 때 고증을 맡았다. 또 「동래 야류」와 함께 동래 지역 주요 민속 예술인 「동래 학춤」을 고증하여 재생시키기도 했는데, 동래 학춤과 동래 지방 한량들이 즐겨 추던 「동래 덧배기춤」과의 유사성을 지적하여 문헌 자료가 남아 있지 않은 「동래 학춤」의 유래에 대해 중요한 지침을 제공하였다. 1980년 4월 8일 세상을 떠났다.

[상훈과 추모]

1965년에 제6회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에서 대통령상[동래 야류 부문]을 수상하였고, 1970년 8월 26일 중요 무형 문화재 제18호 동래 야류 예능 보유자[연출 부문]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