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박인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328
한자 朴仁植
영어음역 Bak Insik
이칭/별칭 동암(東庵)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사암 마을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서용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관료|교육가
성별
본관 밀양(密陽)
대표경력 김해사립녹명학교 교장
출생 시기/일시 1878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98년 - 비서원 비서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948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화전동]
거주|이주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화전동]
활동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화전동]

[정의]

개항기 부산 출신의 관료이자 교육가.

[개설]

본관은 밀양(密陽). 호는 동암(東庵). 1878년(고종 15) 김해 녹산의 남쪽 바닷가에 큰 바위 넷이 있어 생긴 이름인 사암(四岩) 마을[현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에서 1878년 태어났다.

[활동 사항]

박인식(朴仁植)은 일찍이 경의문대(經義問對)[주로 『논어』의 주요 대목에 대해 문답 형식으로 자신의 견해를 밝힌 글]로 성균관에 들어간 후 1898년(고종 35) 왕명의 출납을 맡아 보던 관아인 비서원(祕書院)의 비서[정3품 주임관 4등]를 지냈으며, 1910년 대한제국이 일제에 강제로 병합되자 낙향하였다.

고향인 녹산에서 학식과 경륜이 뛰어난 인물로 명성이 높았던 박인식윤규석(尹奎石), 최석붕(崔錫鵬) 등 녹산 지역 선각자들이 1909년(순종 3) 3월 1일에 설립한 김해사립녹명학교[현 녹명초등학교]의 학문 교원으로 초빙되어 교육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후 김해사립녹명학교 교장을 역임하면서 지역 사회의 교육과 교화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개화기의 선각자이며 학자로서 이름을 떨쳤다. 1948년 별세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