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303 |
---|---|
한자 | 1872郡縣地圖釜山鎭地圖 |
영어의미역 | Busanjin-jido in 1872 Gunhyeon-jido, Map for Defense and Borderlands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서용태 |
[정의]
1872년에 편찬된 군현 지도 가운데 부산진성을 그린 지도.
[개설]
1866년(고종 3) 병인양요와 1871년(고종 8) 신미양요 같은 외침을 겪은 이후 조선 정부는 국방과 치안을 위한 관제 개정, 군제 개편, 군사 시설의 확충과 경비의 강화, 군기(軍器)의 정비와 실험 등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지방의 실정을 파악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였고, 이를 위해 1871~1872년에 전국적인 차원에서 각 군현의 읍지 편찬과 지도 제작 사업을 추진하였다.
1872년 중앙에서는 전국 각 지역의 군사 시설 및 지역에 대한 파악의 일환으로 총 458장의 군현 지도를 제작하였다. 그 중 『1872 군현 지도』 「부산진 지도(1872郡縣地圖釜山鎭地圖)」는 경상도에서 만들어 올린 부산진성과 주변 일대의 지도이다. 경상도의 군현 지도는 모두 104장이 제작되었는데, 이 중 일반 군현 지도가 50장이고 진보(鎭堡), 산성(山城), 목장(牧場) 지도가 54장에 달한다. 현재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1872 군현 지도』 「부산진 지도」는 표현 양식이 『1872 군현 지도』 「동래부 지도(1872郡縣地圖東萊府地圖)」와 동일하다. 전체적으로 동래부 지도를 토대로 부산진을 확대하여 그린 수준으로, 아마도 『1872 군현 지도』 「동래부 지도」를 제작할 때 동일한 제작자가 『1872 군현 지도』 「부산진 지도」도 함께 그린 것으로 보인다. 지도의 형태는 낱장의 채색 필사본(彩色筆寫本)으로, 크기는 가로 71.0㎝, 세로 108.0㎝이다. 조선 전기 부산진성의 모습을 그린 지도는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고, 그 형태에 대해 몇몇 이견이 있다. 『1872 군현 지도』 「부산진 지도」에 표현된 부산진성은 조선 후기에 축조된 것으로, 임진왜란 당시 왜군이 만든 왜성이 있던 곳에 다시 쌓은 것이다. 현재 그 일부가 남아 있다. 『1872 군현 지도』 「부산진 지도」에서 부산진성 내에 자성대라고 그려져 있는 곳이 바로 임진왜란 때의 왜성이다.
자성대에 표시된 만공단은 명나라 장수 만세덕(萬世德)을 추모하는 제단이다. 조선은 임진왜란이 끝난 후 자성대를 중심으로 성을 다시 쌓고 4대문과 관아를 정비하여 부산진 첨사영으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해서 부산진지성이 본성으로 쓰이게 되었다. 지도에는 부산진성 내에 부창(釜倉), 객사(客舍), 아사(衙舍)[관아]가 그려져 있다. 부산진의 성곽은 남문보다는 서문이 정문의 역할을 하여, 사람과 물자의 이동이 주로 서문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지도에 서문 밖의 사창과 장시가 기재되어 시장이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시장은 바로 오늘날 부산진 시장의 기원이 된다. 성 밖에는 1614년(광해군 6)에 순찰사 권반(權盼)이 전선 보관을 위하여 선창을 만들면서 파낸 토사로 언덕을 만들어 세운 영가대가 그려져 있다.
선창에는 배들이 회화식으로 나타나고 왜선 선창은 다른 곳에 표현되어 있다. 절영도 옆에 태종대가 독립된 섬으로 그려진 것이 특이하다. 부산진 남쪽의 두모진과 왜관의 모습도 비교적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대마도는 불완전하게 표현됨으로써 원거리임을 나타내었다. 지도에는 서문과 북문을 중심으로 각 도로가 붉은색으로 표현되어 있다. 서문으로 난 도로 주변인 북서쪽 마을로는 동평현, 범전, 연지, 초읍, 신암이 기재되어 있으며, 북문으로 난 도로 주변의 동남쪽 마을로 전포, 연동, 우암, 감만, 용당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정공단이 그려져 있는데 정공단은 임진왜란 때 전사한 부산진 첨사 정발(鄭撥)을 제사 지내던 곳이다.
[특징]
1872년에 편찬된 군현 지도는 대부분 회화적 성격과 지도적 성격이 혼합되어 있다. 그래서 회화적 아름다움을 지니면서도 산과 하천, 고개, 왕릉, 사찰, 면, 역참, 장시 등 지역의 모습이 다른 어느 지도보다도 자세하게 그려져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군사적인 측면, 특히 해방(海防)이 강조된 지도이기 때문에 『1872 군현 지도』 「부산진 지도」와 같이 군사 시설이 상세히 표시된 지도를 별도로 작성하였던 것이다.
[의의와 평가]
『1872 군현 지도』 「부산진 지도」는 지금까지 조선 시대 부산진 주변의 지역을 묘사한 지도 중 가장 상세한 것으로, 부산포의 지역 구조와 특히 부산진성 내부 구조가 상세하게 그려져 있다. 성의 사방에 세워진 성문의 위치와 성 안의 자성대, 만공단, 객사 등의 관아 건물뿐만 아니라 영가대와 선창의 모습도 비교적 상세하게 그려져 있어 부산진성과 주변 지역의 연구 자료로 매우 유용하다. 지도학사적인 측면에서는 현존하는 조선 시대 지도 대부분이 중앙 관서의 감독에 의해 일괄적으로 제작된 데 비해 『1872 군현 지도』 「부산진 지도」는 상대적으로 비전문적인 현지인에 의해 만들어지고 모아진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중요하게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