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288 |
---|---|
한자 | 嶺南邑誌機張縣地圖 |
영어의미역 | Map of Gijang-hyeon in Yeongnam Eupji [1871]|Gijang-hyeon in 「Yeongnam-eupji」, Attached County Map in Regional Geography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서용태 |
[정의]
1871년에 편찬된 『영남 읍지』에 첨부되어 있는 기장현의 지도.
[개설]
1866년(고종 3) 병인양요와 1871년(고종 8) 신미양요 같은 외침을 겪은 이후 조선 정부는 국방과 치안을 위한 관제 개정, 군제 개편, 군사 시설의 확충과 경비의 강화, 군기(軍器)의 정비와 실험 등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지방에 대한 실정 파악은 시급한 과제였고, 이를 위해 1871~1872년에 전국적인 차원에서 각 군현의 읍지 편찬과 지도 제작 사업을 추진하였다.
1871년에 편찬된 『영남 읍지』는 1832년(순조 32)에 편찬된 『경상도 읍지(慶尙道邑誌)』와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다. 『경상도 읍지』는 경상도 지역의 71개 읍의 읍지로, 각 읍의 호구, 경지 통계 등 지역 사회의 지리에 대해 상세하게 파악되어 있다. 또한 각 읍지의 머리에는 지도가 첨부되어 있는데, 지도의 내용이 충실하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영남 읍지(嶺南邑誌)』 「기장현 지도(機張縣地圖)」는 1871년에 편찬된 『영남 읍지』에 부도(附圖)로 삽입된 채색 필사본(彩色筆寫本) 지도로, 크기는 가로 20.8㎝, 세로 31.2㎝이다. 『영남 읍지』 「기장현 지도」는 적색 겹선으로 그어진 광각 안에 지도를 그렸다. 산지와 하천의 유로를 짙은 회색으로 표현하였고 산줄기는 봉우리로 묘사되어 있다. 중심부에 읍치(邑治)가 표현되어 있고, 『영남 읍지(嶺南邑誌)』 「동래부 지도(東萊府地圖)」에서와 같이 읍치로부터 난 도로가 적색 실선으로 그려져 있다. 별다른 지명은 표시되어 있지 않고 상북면, 중북면, 하북면, 동면, 남면, 상서면, 하서면 등 각 면의 위치와 이름만 나와 있으며, 건축물은 향교(鄕校)와 장안사(長安寺), 안적사(安寂寺) 등의 절과 봉수대만 그려져 있다.
[특징]
『영남 읍지』 「기장현 지도」는 산세와 해안이 다른 지도들보다 강하고 거칠게 묘사되어 있으며, 이는 같은 시기에 제작된 『영남 읍지』 「동래부 지도」와 비교해도 훨씬 거칠고 간결하다. 산지는 검은 바탕 위에 청색으로 덧칠을 하여 매우 강하게 표현되어 있고, 산의 지명은 수록되어 있지 않다. 관내를 흐르는 하천 유로가 다른 지도에서는 대부분 곡선으로 처리된 반면 『영남 읍지』 「기장현 지도」에서는 청색 실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바다는 청색으로 처리하였다.
[의의와 평가]
『영남 읍지』 「기장현 지도」는 이전에 제작된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지도보다 기장현이 실제 모습에 가까우며, 담고 있는 지리 정보도 상세하다. 『영남 읍지』 「기장현 지도」를 통하여 부산 기장 지역의 산줄기와 해안선, 하천 등의 자연환경과 조선 후기 주요 도로, 사찰, 봉수 등 기장 지역의 전반적인 모습과 상황을 한 눈에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