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다대진 공문 일록』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263
한자 多大鎭公文日錄
영어음역 Dadaejin Gongmun Illok
영어의미역 List of Dadae-jin Official Document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동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도서
간행자 임홍모
편찬 시기/일시 1856년 12월 21일~1858년 3월 22일연표보기 - 편찬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로 664

[정의]

1856년~1858년 다대진의 각종 공문서를 모아서 합한 자료.

[편찬/간행 경위]

『다대진 공문 일록(多大鎭公文日錄)』은 1856년 12월 21일부터 1858년 3월 22일까지 날짜별로 다대진과 순영(巡營), 통영(統營), 좌수영(左水營), 동래부(東萊府) 및 경상좌도(慶尙左道)의 각 읍, 진하(鎭下) 각 면리 사이에 오간 공문서를 묶은 책이다.

[형태/서지]

『다대진 공문 일록』은 필사본으로, 본래 여러 책으로 편성되었을 것으로 여겨지나 흩어져 없어져 버리고 본 책 1권만이 남아 있다. 현재 앞부분은 낙장된 상태이다.

[구성/내용]

『다대진 공문 일록』은 다대진 첨사 임홍모(任弘模)의 재임 기간 중에 작성된 것이다. 다대진의 이무(移貿) 폐단과 포흠(逋欠), 이양선(異樣船)의 출현에 대한 조치, 경상좌도 청하(淸河), 영덕(盈德), 기장(機張), 영천(永川) 등 각 읍의 방역전(防役錢) 수납 과정, 각종 채전(債錢)의 운용과 그 폐단, 약재를 중심으로 한 진상 문제, 각종 역가미(役價米)의 부담, 환곡의 분정에 대한 것, 농정과 관련된 사항, 한 사람이 다대진과 동래부에서 두 가지 역(役)을 지게 된 사례, 다대진의 왜관 차역 및 경주인의 역가 조달 문제, 미곡상들의 곡가 조작에 따른 처리 등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다대진 공문 일록』은 변방의 지방 재정 운영 등의 문제를 비롯하여 조선 후기 동래의 지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