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261 |
---|---|
한자 | 觀德亭守護節目 |
영어음역 | Gwandeokjeong Suho Jeolmok |
영어의미역 | Rules for Preserving Gwandeokjeong Pavilio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손숙경 |
[정의]
1855년 동래 지역의 활터인 관덕정을 수호하기 위한 세부 규칙을 작성한 책.
[편찬/간행 경위]
『관덕정 수호 절목(觀德亭守護節目)』은 1855년(철종 6) 관덕정(觀德亭)을 만들고 난 후 동래 지역의 조직인 양무당(養武堂)에서 이를 수호하고자 관덕정의 설립 배경과 함께 8개항의 절목을 만들어 적은 것이다. 이후 관덕정은 기영회에서 관리하였다.
[형태/서지]
『관덕정 수호 절목』은 기영회에 소장되어 있으며 필사본이다.
[구성/내용]
『관덕정 수호 절목』은 모두 5장으로 먼저 동래 지역의 활터인 관덕정에 대한 내력을 간단히 기술하였다. 뒤이어 관덕정을 수호하기 위한 8개항의 절목을 적어 놓았다. 내용을 살펴보면, 동래 지역의 동정(東亭)과 서정(西亭)을 합쳐 학소대 기슭에 활터인 관덕정을 만들었다. 관덕정을 만든 배경은 논밭에서 활 쏘는 연습을 할 수 없으므로 활터를 만들어 무과를 응시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의의와 평가]
『관덕정 수호 절목』은 조선 후기 동래 지역 활터와 관련된 사항과 이를 운영한 조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