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조선 팔도 지도』 「왜관 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194
한자 朝鮮八道地圖倭館地圖
영어의미역 Map of Waegwanin Joseon Paldo Jido[Map of Eight Provinces of Jos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관리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제작 시기/일시 1785~1800년연표보기 - 제작
현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정의]

18세기 제작된 『조선 팔도 지도』에 삽입되어 있는 부산 왜관 그림.

[개설]

『조선 팔도 지도(朝鮮八道地圖)』 「왜관 지도(倭館地圖)」는 초량 왜관을 실경으로 그린 것이다. 도별도에 이 그림이 삽입된 이유는 정확하지 않다. 보관 상태는 양호하지 못하다. 부산 왜관은 원래 오늘날의 동구자성대(子城臺) 서북쪽에 부산포 왜관[1409~1592]이라는 이름으로 있었다가, 임진왜란 이후에 절영도[현재의 영도]에 절영도 임시 왜관[1601~1678]으로 바뀌었다. 그 뒤 오늘날의 동구 수정동두모포 왜관[1609~1678]을 두었다가 1678년 지금의 용두산 근처로 옮겨 1876년 개항 때까지 198년간 존속하였다. 『조선 팔도 지도』 「왜관 지도」는 용두산 주변의 왜관을 묘사한 것이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관아 건물을 중심으로 좌우로 산을 배치하고 섬과 바다를 원경으로 표현하였다. 왜관과 주변 경관의 묘사가 매우 추상적이다.

[특징]

중앙에 왜관을 구성하고 있는 건물을 묘사하고 우측에는 삼림을 묘사하였다. 우측에 묘사된 산지는 지금의 용두산 일대, 좌측의 산지는 지금은 없어진 용미산 일대를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용미산 윗부분의 산지는 영도를 그린 것으로 보인다. 섬이 두 곳에 묘사되어 있으나 어느 쪽이 오륙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의의와 평가]

왜관을 그린 지도로는 변박(卞璞)의 「왜관도(倭館圖)」나 일본인들이 그린 「초량 왜관도(草梁倭館圖)」가 있으나 실경으로 관아 건물과 주변의 산지를 그린 것은 『조선 팔도 지도』 「왜관 지도」가 유일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