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161 |
---|---|
한자 | 東國地圖慶尙道地圖 |
영어음역 | Gyeongsang-do Jido |
영어의미역 | Map of Gyeongsang-do in Dongguk Jido [Late 16th Century]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기혁 |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동국지도』에 수록되어 있는 부산을 비롯한 경상도 지도.
[개설]
『동국지도』는 16세기 중반에 제작된 것으로, 조선 전기 간행본(刊行本)으로 제작된 도별 지도 중 가장 상세한 지도이다. 지도 상단에 일정 부분을 할애하여 찰방, 첨사, 만호, 권영 등 국방과 관련된 내용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국가가 주도하여 제작한 것으로 짐작된다. 현재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동국지도(東國地圖)』 「경상도 지도(慶尙道地圖)」는 가채(加彩) 목판본으로 크기는 36.6×24.2㎝이다. 「팔도 총도(八道總圖)」는 삽입되어 있지 않으나 도별도(道別圖)에서 각 도의 윤곽이나 하계망은 「동람도(東覽圖)」와 유사하다. 바다에 해파가 묘사되어 있는 것도 동일하다. 그러나 『동국지도』 「경상도 지도」에서는 각 군현에 관련된 내용을 상세하게 첨기하였을 뿐만 아니라, 도로를 붉은색으로 그리고, 각 도의 관찰사영에 붉은색 윤곽선을 그렸다.
『동국지도』 「경상도 지도」 대구부에 1601년 이후 설치된 감영이 표시되어 있으나 지명이 가필되어 있고, 이전 감영인 경주부를 중심으로 희미하게 도로 표시가 있는 것으로 볼 때 도로와 감영 표시는 후대에 채색된 것으로 보인다. 부산 지역의 경우 동래에는 고을의 진산인 윤산과 고지명으로 장산(萇山)이 수록되어 있다. 기장에는 탄산(炭山)과 함께 고지명인 곡차성(谷車城)이 있다.
[특징]
『동국지도』 「경상도 지도」 상단부의 주기에 부산 관련 기록이 있는데, ‘부산 동래 남 21리’, ‘다대포 동채 남 54리’, ‘가덕 웅천 남해중’이라 기술되어 있다. ‘포이포 장기 북 17리’, ‘개운포 울산 남 25리’, ‘두모포 기장 동 7리’ 등의 기록도 있어 이들 진이 좌수영으로 이전하기 전에 제작된 지도임을 보여준다.
[의의와 평가]
임진왜란 이후 이와 같은 형태의 지도책은 목판으로 제작되어 대량으로 유통되어 지리 정보가 민간 사회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동국지도』 「경상도 지도」는 도별 지도로서 지도 발달사뿐만 아니라 조선 전기의 경상도 지리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