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324
한자 淸州韓氏
영어의미역 Cheongju Hansi|Cheongju Han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부산광역시
집필자 김연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씨시조 한란(韓蘭)
입향시조 한지(韓址)
본관 청주 - 충청북도 청주시
입향지 수안동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세거|집성지 월평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
세거|집성지 다대동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수안동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정의]

한란을 시조로 하고, 한지를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개설]

한씨(韓氏)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이른바 삼한 갑족(三韓甲族)이다. 한씨의 본관은 문헌에 131본으로 나타나 있으나 청주·평산·한양·안변·양주·곡산·단주·홍산·가주·면천·대흥·부안·당진·함흥·금산·신평 등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한씨의 세거지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다.

이 중에서도 곡산 외에는 청주가 대종이며, 모두 청주에서 갈린 분파로서 오늘날에는 청주 한씨로 일원화하였으므로 한씨의 본관은 사실상 청주와 곡산 2본으로 되었다. 곡산 한씨는 송나라에서 귀화한 한예(韓銳)를 시조로 하고 있고, 청주 한씨는 기자(箕子)의 후예인 우량(友諒)의 원손 한란(韓蘭)을 시조로 하고 있다.

[연원]

청주 한씨의 시조 한란은 고려 태조가 견훤(甄萱)을 정벌하기 위해 군졸을 이끌고 그의 집 앞을 지날 때 종군하여 용맹과 지혜로써 삼한 통합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 문하태위(三重大匡門下太尉)가 되고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에 녹훈되었다. 『한씨 세보』에 의하면 한씨의 연원은 멀리 기자의 41세손 애왕(哀王)이 위만(衛滿)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남천하여 금마에 마한(馬韓)을 세워 한왕(韓王)이라 일컬었고, 준왕(準王)의 친족으로 고국에서 위만에게 억류당한 자들도 한씨라 칭했다고 한다.

마한의 마지막 왕인 원왕(元王)에게 아들 우평(友平)·우성(友誠)·우량 3형제가 있었는데 마한이 망하고 삼국 시대가 되자 우평은 고구려에 벼슬하여 북원 선우씨(北原鮮于氏)가 되었고, 우성은 백제에 벼슬하여 덕양 기씨(德陽奇氏)가 되었으며, 우량은 신라에 벼슬하여 본성인 상당(上黨)[지금의 청주] 한씨를 승계했다고 한다. 우량의 31세손 한지원(韓智原)에게 한만(韓蔓)·한문(韓菛)·한란·한영(韓英)의 네 아들이 있었는데, 그중 셋째 아들 난을 시조로 하고 그가 살던 청주를 본관으로 삼았다고 한다.

또 『청주 한씨 분관 연원록』에 의하면 5세 한후저(韓候抵)[평산 한씨], 6세 한원서(韓元諝)[한양 한씨], 8세 한임경(韓林卿)[홍산 한씨], 8세 한란경(韓蘭卿)[양주 한씨], 9세 한연(韓連)[안변 한씨], 9세 한자희(韓自禧)[오천 한씨], 9세 한희유(韓希愈)[가천 한씨], 10세 한공서(韓公瑞)[당진 한씨], 11세 한유충(韓惟忠)[대흥 한씨], 14세 한이(韓彛)[부안 한씨], 14세 한진(韓珍)[보안 한씨], 15세 한교(韓曒)[금산 한씨], 9세 한악(韓渥)의 후손 한승정(韓承貞)[서원 한씨], 9세 한영(韓泳)의 후손 한규지(韓圭之)[장단 한씨], 한익지(韓翼之)[함흥 한씨], 한혁지(韓焃之)[교하 한씨], 시조 한란의 둘째 아들 한총례(韓聰禮)[단천 한씨] 등을 중조로 하여 각각 분적하였다. 그 밖에 한란의 원조(遠祖) 우량의 후손으로 전해지는 우신(禹新)·세찬(世澯)·종희(宗禧)·세침(世琛) 등을 1세조로 하는 계통이 있으나 근년에 거의 환본하여 청주 한씨로 일원화되었다.

[입향 경위]

한지(韓址)는 정사좌리공신 서원군(西原君) 한교(韓嶠)[1556~1627]의 후손으로 인조 조에 거창에서 병자호란을 피하여 현재의 동래구 수안동으로 왔다.

[현황]

1937년 문기주(文錡周)가 편찬한 『동래군지』의 성씨조에는 청주 한씨는 세거 성씨로 기록되어 있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 청주 한씨는 1만 2396가구에 4만 266명[남자 2만 409명, 여자 1만 9857명]이 부산 지역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 한씨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 사하구 다대동, 동래구 수안동 등지에서 세거하였거나 세거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