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202
영어의미역 Birch tree houses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샘로 377[구서동 1026-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주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음식점
면적 217.82㎡
전화 051-515-9879
홈페이지 박달집(http://blog.naver.com/sharaman)
이전 시기/일시 1951년 - 평안도 평양시 신리에서 강원도 삼척시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87년 - 강원도 삼척시에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1026-7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87년 - 성천관에서 박달집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7년 - 임완규로 대표 변경
최초 설립지 성천관 - 평안도 평양시 신리
주소 변경 이력 성천관 - 강원도 삼척시
주소 변경 이력 박달집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샘로 377[구서동 1026-7]
현 소재지 박달집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샘로 377[구서동 1026-7]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전통 개장국 전문 음식점.

[개설]

박달집은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오래된 음식점이자 부산에서 가장 유명한 전통 개장국 및 영양탕 전문점으로, 부산광역시 금정구의 먹거리 타운인 금샘로 외식 타운의 대표적인 음식점이다.

[건립 경위]

1951년 1·4 후퇴 시기에 강원도로 피난 온 박영숙[창업주]이 1920년대[추정]에 평안도 평양시 신리에 전통 개장국 음식점인 성천관을 개업하였다.

[변천]

1951년 평안도 평양시 신리에서 강원도 삼척시로 이전하였다. 1987년 강원도 삼척시에서 현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1026-7번지로 이전하면서 성천관에서 박달집으로 개칭하였고, 박영숙의 외손자[임완규, 현 대표]가 물려받아 3대째로 이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구성]

우성 아파트 맞은편의 금샘로 외식 타운에 있는 2층 건물에 있으며, 217.82㎡의 면적을 사용하고 있다. 주차장에서 나무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입구가 나오며, 입구 오른편에 잘 다듬어진 분재가 있는 테라스가 있다. 입구로 들어가 계산대를 지나 홀로 들어서면, 왼편에 탁자로 된 좌석이 있고 오른편에 좌식 좌석이 있다. 탁자로 된 좌석은 각 탁자마다 칸막이가 쳐져 있어 독립된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 개별 방도 구비되어 있다. 각 벽면에 박달집의 연혁을 담은 안내판이나 박달집을 방문한 연예인들의 서명이 전시되어 있다. 전통 문양 및 도자기 등으로 한국적인 분위기를 연출한 인테리어로 이루어져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영업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10시까지이며, 매주 월요일은 휴무일이고, 지하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다. 황구(黃狗)만을 고집하며, 금정산의 200m 지하 암반수를 넣어 365일 하루도 불을 꺼뜨리지 않고 24시간 내내 끓인 진국을 만들어 낸다. 보신탕을 먹지 못하는 손님을 위한 한방 삼계탕도 함께 판매한다. 박달집에서만 맛볼 수 있는 무술주는 황구를 이용한 전통 비주(秘酒)로, 맑게 뽑은 육수에 누룩을 곱게 빻아 넣고, 찹쌀, 감초, 구기자 등 여러 약재를 함께 넣어 항아리에서 열흘 정도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1987년 구서동에서 개업할 당시부터 여름철 보양 음식을 찾는 장년층 남성들이 주 고객층이었지만, 최근에는 여성과 가족단위 고객층을 겨냥한 다양한 메뉴들이 개발되면서 고객층의 폭도 확대되고 있다. 일본에 소개되면서 일본인 관광객들도 제법 많이 박달집을 찾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