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9189 |
---|---|
한자 | 朴永燮 |
영어음역 | Bak Yeongseop |
이칭/별칭 | 화봉(華峰)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187[명륜1동 530-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서용태 |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대동병원을 설립한 의사.
[가계]
호는 화봉(華峰). 장인은 동해 한흥교(韓興敎)이고, 처남은 한형석(韓亨錫)으로 부산의 독립운동가이다. 부인은 한갑석(韓甲錫)이며, 아들로 전·현직 대동병원 병원장인 박성환·박진환·박경환을 두었다.
[활동 사항]
박영섭(朴永燮)[1919~1975]은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일제 강점기 수재들만 모인다는 대구사범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939년 7월 5학년 재학 중 일본인 교사의 한국인 학생 차별대우 등에 항의하여 일본인 교사를 습격하는 왜관학생사건을 주도하다 퇴학 처분을 받았다. 하지만 대구사범학교 퇴학은 박영섭의 인생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진로를 교사에서 의사로 바꾸었기 때문이다.
박영섭은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졸업 후 의사가 되었다. 동래일신여학교 출신의 한갑석과 결혼하였는데, 그녀는 부산 지역 최초의 양의이자 독립운동가인 한흥교의 딸이다. 또한 한흥교와 함께 독립운동가로 유명한 한형석이 그녀의 오빠이자 박영섭의 손위 처남이 된다. 학생 운동 전력으로 퇴학을 당한 그였으니 의사이자 독립운동가 집안과의 혼사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일제가 패망하자 박영섭은 1945년 10월 처가 동네인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183번지에서 대동의원(大同醫院)을 개원하였다. 병원 이름은 장인 한흥교가 1917년 개업해 운영한 대동의원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대동의원은 중국에서 독립 운동을 하던 한흥교가 고향에 돌아온 후 그의 아버지가 동래 제일의 부자 오종식(吳宗植)[전 서울신문사 사장]의 집[현 동래구청 옆 부산지방기상청 자리]에 차려 준 병원이었다. 이 병원이 지금의 동래 대동병원의 시초인데, 언제나 사람들로 붐볐다고 하니 박영섭으로서는 그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 여러모로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6·25 전쟁이 발발하고 부산이 임시 수도가 되면서 부산 지역에 전상자를 비롯한 외상 환자들로 넘쳐나자 휴전 직후인 1954년 10월 대동외과병원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185㎝의 큰 키에 90㎏이나 나가는 거구였던 박영섭이 진료를 하는 모습은 지역민들에게 강한 인상을 주어 병원에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았다.
‘지역 사회 주민의 질병 퇴치 및 예방과 건강 증진에 전력하고 나아가서 국민 보건의 일익을 담당하는 병원으로서 풍요로운 복지 사회 건설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는 대동병원의 설립 목적에 부합하느라 늘 일에 쫓겨 가정사는 등한시하였다고 하는데, 그래도 아내의 내조에 힘입어 아들 셋이 그의 뒤를 이어 의사가 되었다.
병원이 자리를 잡아가자 로타리클럽 봉사 활동을 하던 박영섭은 교육 사업에 뛰어들어 1967년 3월 학교법인 화봉학원을 설립하고, 병원의 이름도 대동병원으로 변경하여 종합 병원으로의 도약을 준비하였다.
1967년 11월 장인인 한흥교의 호를 딴 동해중학교를 동래에 설립하였고, 또한 당시 턱없이 부족한 부산 지역의 간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1970년 12월 대동간호학교를 설립하여 지역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이렇게 지방 유지로, 또 존경받는 의사로 살던 박영섭은 박정희 정권이 유신 체제를 출범시키자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나서 정치적 꿈도 키워 나갔다. 1972년 12월 박영섭은 김도근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사장, 윤인구 부산대학교 초대 총장 등과 함께 동래구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으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정치인을 꿈꾸던 1975년 2월 28일 57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2005년 10월 1일 화봉 박영섭 박사 흉상 제막식 및 『대동 60년사』를 발간하였다. 2020년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의 자주독립과 건립에 공헌한 공로를 인정받아서 대통령 표창을 포상받았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0.04.27 | 내용 수정(현행화) |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9년 - 출생 → 출생 시기/일시 1919년 2월 18일 - 출생 ---------------------------- (추가) 포상 시기/일시 2020년 - 독립유공자 대통령 표창 수상 ---------------------------- [활동 사항] 재학 중 학생 운동으로 졸업을 앞둔 5학년 때 퇴학 처분을 받았다. → 1939년 7월 5학년 재학 중 일본인 교사의 한국인 학생 차별대우 등에 항의하여 일본인 교사를 습격하는 왜관학생사건을 주도하다 퇴학 처분을 받았다. ---------------------------- [상훈과 추모] (추가) 2020년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의 자주독립과 건립에 공헌한 공로를 인정받아서 대통령 표창을 포상받았다. ---------------------------- [참고문헌] (추가)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