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7532 |
---|---|
한자 | 松亭洞松亭-光州盧氏世居地 |
영어의미역 | Residential Place of Gwangju No Clan in Songjeong-dong Songjeong Village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송정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주영택 |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 있는 광주 노씨 세거지.
[개설]
광주 노씨(光州盧氏) 시조 노해(盧垓)는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첫째 아들로, 당나라에서 한림학사를 역임하고 신라로 와 광산백(光山伯)에 봉하여졌다. 후손들이 노해를 시조로 하고 광산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왔다. 그 후 계대가 실전되어 후손 중 고려 때 정승을 역임하고 광주군에 봉해진 노만(盧蔓)을 1세조로 하는 계통과 대호군을 역임한 노서(盧恕)를 1세조로 하는 계통으로 갈렸다.
노만의 후손은 노승조(盧承肇)를 파조로 하는 규정공파와 노승관을 파조로 하는 헌납공파로 분파되었다. 노서의 후손은 노숭의 다섯 아들을 파조로 하여 분파되었는데, 큰아들 노상인은 양근공파, 둘째 아들 노상의는 참의공파, 셋째 아들 노상례는 사간공파, 넷째 아들 노상지는 경력공파, 다섯째 아들 노상신은 판관공파 파조가 되었다.
[명칭 유래]
송정동 송정 마을은 동래·양산·울산으로 통하는 큰 길목에 있어, 계곡의 노송과 팽나무가 지나가는 사람들이 쉬어 가는 정자나무가 되고, 점차 정자나무 아래로 주막 등이 생겨나게 되었다고 한다. 인접한 고을의 관원들이 배웅을 할 때 이 정자나무까지 와 배웅을 하였다고 전한다. 이에 ‘보낼 송(送)’에 ‘정자 정(亭)’ 자를 써 송정이라고 불렀다고 전한다. 또는 광주 노씨 문중에서 완만한 백사장이 내려다보이고 해송림이 울창한 언덕에 송호정을 지은 것에서 연유한다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노수신(盧守愼)이 을사사화에 휩쓸려 1547년(명종 2) 파직되고 순천으로 귀양을 갔다. 사색당파 싸움에 언제 멸문을 당할지 몰라 노수신의 두 가족과 동생 노극신 가족 등 종족을 보존하기 위하여 1690년경 경상북도 상주 화녕에서 울산 서생으로 이주하였다. 1700년경 노극신의 손자 노사원이 울산 서생에서 기장 송정으로 이거하여 광주 노씨 대재공파 송정 입향조가 되었다. 1877년(고종 14) 노영경이 경주 부윤, 울산 부사 겸 병마절도사, 좌부승지를 역임하고 1905년(고종 42) 향리로 돌아와 송정에 송호재를 짓고 경학에 전심하였다.
[자연 환경]
송정동 송정 마을 동쪽으로 철마산이 있고, 마을 서쪽으로 송정천이 흐르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송정동 송정 마을에는 광주 노씨 5가구가 살고, 부산 전역에는 170여 가구가 거주하고 있다. 송정 마을 조상 산소가 동부산 관광 단지 부지로 편입되어 2009년 반송 실로암 공원묘지에 선유당을 조성하여 조상 묘를 이장하였다. 선유당에는 납골당 150여 기를 축조하여 지금 40기가 안장되어 있다. 광주 노씨 사원대재공파 문중 회관 재실은 4층 건물의 1층에 자리 잡고 있다. 재실 동쪽 벽면 상단에 석판 위패[8위 17분]가 부착되어 있다. 향사일은 매년 음력 10월 셋째 주 일요일이며, 후손 70여 명이 참석한다. 광주 노씨 사원대재공파 문중 회장은 노복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