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7475 |
---|---|
한자 | 古村里咸安趙氏世居地 |
영어의미역 | Residential Place of Haman Jo Clan in Gochon-ri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고촌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구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고촌리에 있는 함안 조씨 세거지.
[명칭 유래]
고촌리의 옛 이름은 돋골이다. 고촌은 돋골의 본 마을, 오래된 마을이라는 의미로 보기도 한다. 또한 마을 앞 화산등(花山嶝)에 진달래꽃이 만발하면 마을 가득 꽃이 핀다고 하여 꽃촌이라 하였다가 후에 고촌으로 변하였다는 설도 있다.
[형성 및 변천]
함안 조씨(咸安趙氏)는 본래 후당(後唐) 사람이었으나 신라 말기 귀화한 조정(趙鼎)을 시조로 한다. 조정은 고려 개국 공신인 신숭겸(申崇謙), 배현경(裵玄慶), 복지겸(卜智謙), 김선평(金宣平), 권행(權幸) 등과 교유가 두터웠다고 한다. 또한 고려 통일에 큰 공을 세워 개국 벽상 공신으로 대장군에 봉하여졌다. 고촌리에는 함안 조씨가 가장 먼저 입거하였는데, 대략 임진왜란 직후인 1600년경이다. 입향조는 동은공파(東隱公派) 파조 조근(趙墐)의 증손자인 조징서(趙徵瑞)가 사천[현재 사상]에서 이거하였다. 조징서의 자는 문원(文元)이고 묘소는 무지산 원지곡에 있다. 선대에 도유사를 지낸 조완벽(趙完璧)[5대조], 참봉과 좌수를 지낸 조주광(趙珠光)[고조할아버지], 장의를 지낸 조석룡(趙錫龍)[증조할아버지], 별감을 지낸 조석룡(趙碩龍)[할아버지]과 조유철(趙有哲)[아버지] 등이 있다.
[자연 환경]
고촌리는 북서쪽의 개좌산[451m]과 운봉산[454m]을 중심으로 서쪽에 산지가 발달하였으며, 북쪽으로도 산지가 형성되어 있다. 북동쪽 산지에서 발원한 고촌천이 서쪽으로 흐르고, 북쪽 산지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흘러 고촌천과 합류하여 남쪽에서 석대천에 유입한다. 하천 유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산지에 해당한다.
[현황]
2013년 현재 고촌리의 함안 조씨는 대부분 이주하고 3~4가구만 살고 있다. 고촌리 함안 조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는 대부분 준호구(準戶口)와 호구 단자(戶口單子)이며, 그 외 첩(帖) 4점과 소지(所志)[청원서] 2점 등이다. 준호구와 호구 단자의 시기는 1732년(영조 8)에서 1894년(고종 31)까지이며, 신호적은 1897년(고종 34)에서 1906년까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