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7469 |
---|---|
한자 | 奇龍里金海金氏世居地 |
영어의미역 | Residential Place of Gimhae Gim Clan in Giryong-ri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현라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기룡리에 있는 김해 김씨 세거지.
[명칭 유래]
기룡리(奇龍里)의 기(奇)는 ‘키’, ‘크’의 차음 표기로 ‘크다’라는 의미이다. 장안천이 옛날에는 ‘건천(乾川)’, ‘용천(龍川)’이라 하여, 장안천 변의 마을 이름은 대부분 용(龍) 자나 건(乾) 자가 사용되었다. 이에 기룡은 장안천 변의 큰 마을이라는 뜻이다.
[형성 및 변천]
김해 김씨(金海金氏)가 기룡리에 들어온 것은 1700년대 후반으로, 입향조는 지금의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지역에서 오랫동안 살다가 이곳으로 이거한 시중공파 통정대부 용양위 부호군 김세걸(金世傑)[1730~?]이다. 김세걸 이후 그 아들 김달해(金達海), 김달행(金達行)이 대를 이어 세거하였다. 김세걸의 아버지인 김중하 무덤이 현 울주군 온양읍 망양리에 있다.
[자연 환경]
기룡리 서쪽은 삼각산을 중심으로 산지가 발달하고, 동쪽에는 높이 100~200m의 저산성 산지가 남북으로 달리고 있다. 동서로 발달한 두 산지 사이로 북쪽 장안리에서 발원한 장안천이 흐르며, 동서 두 산지에서 발원한 소하천들은 장안천으로 합류한다. 소하천과 장안천 합류 지점에 소규모 분지가 발달해 주거지를 이룬다.
[현황]
2013년 현재 기룡리에는 김해 김씨 30여 가구가 살고 있다. 마을에 김해 김씨 시중공파 기룡 세걸 문중 재실인 경모재(敬慕齋)가 있는데, 대지는 1,046.1㎡로 목조 기와집이다. 건립일은 1980년이고, 묘사일은 11월 셋째 주 일요일이다. 참여자 수는 400여 명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