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447
한자 永追齋
영어음역 Yeongchu-jae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강로379번길 63[장전동 88-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재실
양식 팔작지붕의 전통 목조 양식
정면칸수 3칸
측면칸수 3칸
소유자 죽산 박씨 총제공파 의재공 문중회
관리자 죽산 박씨 총제공파 의재공 문중회
건립 시기/일시 1980년대연표보기 - 건립
이전 시기/일시 2006년 11월 18일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서 장전동으로 이전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3년 9월 4일 - 요사채인 예희당 건립
현 소재지 영추재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강로 379번길 63[장전동 88-11]지도보기
원소재지 영추재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588-1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있는 죽산 박씨 재실.

[개설]

구서동에 세거하는 죽산 박씨 총제공파 의재공 문중은 총제공(摠制公) 박덕공(朴德公)에서 비롯된다. 박덕공은 고려 멸망을 예견하고 광릉산(光陵山)으로 은둔하였는데, 후일 조선 정조 때 개성 두문동(杜門洞) 표절사(表節祠)에 모셔졌다. 박덕공의 5세손 박수(朴燧)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성주(星州)로 가게 되고, 박수의 현손 선무원종공신 인묵재(忍黙齋) 박천추(朴天樞)가 동래 북면으로 이거하여 그의 후손들은 이곳에 세거하게 되었다. 죽산 박씨 구서 문중의 입향조는 24세 박천추의 아들 박대회(朴大檜)로, 박대회의 아들 의재공(毅齋公) 박준(朴浚)이 구서동에서 태어나 이후 자손들이 세거하고 있다.

[위치]

영추재(永追齋)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88-11번지에 있다. 장전초등학교 인근이며 장전동 쌍용 아파트 뒤편에 있다.

[변천]

1980년대에 지금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588-1번지에 처음 건립되었다. 이곳에 구서동 쌍용 예가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2006년 11월 18일 영추재는 지금의 위치로 다시 건립하여 이전하였다. 2013년 9월 4일에 요사채인 예희당(禮喜堂)을 건립하였다.

[형태]

재실의 문은 솟을대문의 형식인 선덕문(宣德門)이다. 이 문을 들어서면 왼쪽에 요사채인 팔작지붕의 예희당이 있다. 예희당은 팔작지붕의 정면 3칸, 측면 3칸 건물로, 전통 목조 양식의 초익궁 보머리 형식이다. 그 안쪽으로 계단에 올라서면 재실인 영추재가 있다. 영추재는 팔작지붕의 정면 3칸, 측면 3칸 건물로, 전통 목조 양식의 갖은 주삼포 형식이다.

영추재 뒤편에 봉사하고 있는 조상의 설단이 있는데, 설단의 배열은 두 줄로 하였다. 정중앙 부분은 소목지서법에 따라 박준을 수위로 왼쪽에는 박상운(朴尙雲), 오른쪽에 박문재(朴文在)의 비석이 있다. 바로 앞줄에는 이서위상법에 의해 박희곤(朴希坤), 박경일(朴慶一), 박내종(朴乃淙), 박내연(朴乃演), 박민석(朴敏碩), 박성홍(朴性洪)의 비석이 있다. 설단의 밑단은 영추재의 이전 기록이 새겨져 있는 와비가 있다. 대지 면적은 총 957㎡이다.

[현황]

현 장손인 박정웅(朴正雄)의 11대조에서 4대조까지 모시고 있다. 11대조 박준, 10대조 박문재, 9대조 박상운, 8대조 박희곤, 7대조 박경일, 6대조 박내종과 박내연, 5대조 박민석, 4대조 박성홍이다. 음력 10월 중정일 다음날에 묘사를 한다.

향사일에는 총제공파 예하 문중원들이 참여한다. 영추재는 박준의 12세손 박철현(朴鐵鉉)이 문중 유사로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영추재는 부산 인근의 재실 중에서 전통적인 형태를 갖추고 지금까지 50여 호가 세거지를 이루며 향사를 하는 대표적인 재실이다. 그리고 재실의 표준을 제시하고 있어 부산의 다른 문중에서 답사하여 재실 건축의 모범을 삼는 경우가 많다.

[참고문헌]
  • 인터뷰(죽산 박씨 총제공파 의재공 문중 박준의 12세손 박광운, 2013. 10. 8)
  • 인터뷰(죽산 박씨 총제공파 의재공 문중 박준의 12세손 박광운, 2015. 9. 2)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5.09.02 내용 수정 소목질서->소목지서로 수정(2015.9.2)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