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류성룡 필 진시무차 초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251
한자 柳成龍筆陳時務箚草稿
영어의미역 Jinsimucha' Painted by You Seongyong
이칭/별칭 유성룡 필 「진시무차」 초고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재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592년연표보기 - 류성룡 필 진시무차 초고 작성
문화재 지정 일시 2012년 5월 17일연표보기 - 류성룡 필 진시무차 초고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류성룡 필 진시무차 초고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성격 서지류
관련인물 유성룡(柳成龍)[1542~1607]
용도 차자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류성룡의 차자 초안.

[개설]

류성룡 필 진시무차 초고(柳成龍筆陳時務箚草稿)는 서애(西厓) 류성룡[1542~1607]이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 11월 평안도 정주(定州)에 있으면서 국가의 시무(時務)에 대하여 올린 차자(箚子)의 초안이다. 1633년 간행된 『서애집(西厓集)』 권5 차(箚), 「진시무차 임진 11월 재정주(陳時務箚壬辰十一月在定州)」의 초고에 해당하는 문서이다. 2012년 5월 17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형태]

류성룡 필 진시무차 초고는 가로 311.8㎝, 세로 39.2㎝ 크기이다. 가로로 9장의 한지를 이은 두루마리 형태이며 세로로 116행의 초서[반초서]로 쓰여 있는데, 첫째 장은 앞부분이 잘렸고, 아홉째 장은 끝 부분의 배면 글씨가 잘렸다. 다섯째와 여섯째 장은 길이가 다른 장에 비해 좁고 지질이 다르며 앞뒤 장의 묵적(墨跡)과 다르게 갈필(渴筆)[빳빳한 털로 만든 붓]로 되어 있어 수정 가필(加筆)하여 다시 이어 붙인 것으로 짐작된다.

[구성/내용]

내용은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적 위기에 믿을 수 있는 것은 민심이므로 공을 세운 사람에게는 즉시 상을 주도록 하는 등 흩어진 민심을 모을 세부 계획과 강원도 산척(山尺)[사냥이나 약초 캐는 사람]을 복병으로 활용하여 왜적 북로군(北路軍)의 수미(首尾)를 절단시킬 것, 경성 수복의 계책, 풍년을 맞은 호남의 곡식을 영남으로 옮겨 백성을 구제할 것 따위를 비롯하여 변방의 보고를 즉시 처리해 시사(時事)에 만전을 기하고 게릴라전을 활용할 것 등이 주 내용이다

『서애집』에 실린 「진시무차」와 이 초고는 경기 감사 최원(崔遠)의 실행(失行), 함흥의 적을 소탕하는 일, 송언신(宋言愼)의 교체 관계 등에서 내용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초고 작성 후에 발생한 변동 사항을 『서애집』에 실린 「진시무차」에 첨가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의의와 평가]

류성룡 필 진시무차 초고는 임진왜란 관련 기본 사료로 주목할 만한 자료이며, 당시 위정자(爲政者)의 시국관과 국난 극복의 의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임진왜란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서애집』에 최종적으로 수록된 「진시무차」와는 상당 부분이 동일한 내용이지만 서로 첨삭된 부분이 있어 초고가 가지는 고문서로서의 가치도 뛰어날 뿐 아니라, 현존하는 유일본이라는 점에서도 희소가치가 뛰어난 유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