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075
한자 水營江生態保存協會
영어의미역 Suyeong River Ecological Preservation Association
이칭/별칭 수영강보존협회,수보협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선수촌로 162-3[반여동 909-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정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회단체
설립자 서용기
전화 051-521-5381
홈페이지 수영강생태보존협회(http://www.syk.or.kr)
설립 시기/일시 2009년 3월 17일연표보기 - 창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4월 2일 -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부산광역시 제 513호]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8월 29일 - 제9회 한국 강의 날 안동 대회 민관 협력 부문 대상 수상[환경부장관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6월 5일 - 제13회 부산 녹색 환경상 수상
최초 설립지 수영강생태보존협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선수촌로 162-3[반여동 909-2] 3층지도보기
현 소재지 수영강생태보존협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선수촌로 162-3[반여동 909-2] 3층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에 있는 수영강 환경 보호 관련 시민 단체.

[개설]

수영강은 부산의 동부 지역인 수영구해운대구를 가르는 강이며, 부산에서 유역인구가 가장 많은 강이라고 볼 수 있다. 수영강의 상류 지역은 대부분 상수원 보호 구역과 녹지 보존 구역으로 설정되어 있어 부산에서 생태 보존의 필요성이 높은 강이나, 하류 지역은 대규모 주거 지역이 밀집되어 있어 수질 오염이 심각한 수준이다.

[설립 목적]

수영강생태보존협회수영강의 수질과 생태를 보전하기 위해 수영강이 지나가는 수영구해운대구 지역의 지도자층과 주민들이 자발적이고 조직적인 활동을 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변천]

날로 오염이 심각해지는 수영강의 수질과 생태를 보전하기 위하여 수영강 유역의 주민들이 2009년 1월 6일 가칭 ‘수영강생태보존협회 발기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으로 조직 구성을 위한 활동을 펼쳐 같은 해 3월 17일 수영강생태보존협회를 창립하였다. 이어 2009년 3월 28일 수영강생태보존협회 발대식 행사를 수영강 시민 공원에서 개최하였고, 같은 해 8월 7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 909-2번지에 현 사무실을 개소하고 ‘ECO 탐사단’ 사업을 시작으로 활발한 활동을 펼쳐왔다. 2010년 8월 29일 제9회 한국 강의 날 안동 대회 민관 협력 부문 대상[환경부 장관상]을 수상했으며 2012년 6월 5일에는 ‘제13회 부산 녹색 환경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수영강생태보존협회수영강 생태 보존을 위하여 자연 생태계 파괴에 대한 감시, 수자원 및 수환경의 지속 가능성 확보, 환경 단체와 연계한 환경 보전 운동 전개, 유역 보전과 생태 하천 보존을 위한 지역 주민 교육, 각종 학술회의 및 행사 개최 등의 사업을 진행한다. 일상적으로 회원들의 생활 속에서 수영강 생태 보존 및 환경 저해 요인을 감시·신고하고 모니터링을 지속하는 한편, 회원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수영강 유역 보존 및 생태 보존에 관한 교육을 펼치고 있다. 매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영강 및 부산 지역 하천의 생태 보존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ECO 탐사단’을 열고 있으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그린코치 봉사단 양성 과정’을 통해 생태보전 교육을 펼치고 있다. 또한 비정기적으로 회원과 일반인이 참가하는 환경 정화 활동, 환경 관련 세미나 참석 및 정책 의견 개시 등의 활동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현황]

수영강생태보존협회는 회장 1명, 부회장 2명, 고문 4명, 자문 8명, 사무국[사무국장 1명, 사무차장 1명, 환경사업단장 1명, 환경감시단장 1명, 재무차장 1명], 기획·홍보분과위원회, 대외협력분과위원회, 재정·행사분과위원회, 교육·문화분과위원회, 청년·체육분과위원회, 회원·복지분과위원회, 조직·정보분과위원회로 등으로 조직이 구성되어 있으며, 2012년 12월 현재 소속 회원은 약 500명이다.

[의의와 평가]

수영강생태보존협회는 지역 주민 및 지역 지도층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지역의 생태에 관한 문제를 이슈화하고 정화 활동과 교육·홍보 활동을 통해 일반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내어 수영강의 수질과 생태를 보호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