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한국자유총연맹 부산시지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998
한자 韓國自由總聯盟釜山市支部
영어공식명칭 Korean Freedom Federation, Busan City Branch
이칭/별칭 KFF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천로 113-10[초읍동 23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동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회단체
전화 051-808-7960
홈페이지 한국자유총연맹 부산시지부(http://www.kflbb.or.kr)
설립 시기/일시 1963년 12월 5일연표보기 - 한국반공연맹 부산시지회로 설립
개칭 시기/일시 1964년 11월 2일연표보기 - 한국반공연맹 부산시지회에서 한국반공연맹 부산·경남지부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89년 4월연표보기 - 한국반공연맹 부산·경남지부에서 한국자유총연맹 부산시 지부로 개칭
최초 설립지 한국반공연맹 부산시지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천로 113-10[초읍동 236]지도보기
현 소재지 한국자유총연맹부산시지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천로 113-10[초읍동 23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한국자유총연맹 소속 지부.

[설립 목적]

대한민국의 자유 민주주의를 항구적으로 옹호, 발전시키고 이와 관련된 민간단체들과의 협조 및 세계 자유 우방과의 유대를 다지기 위해 설립되었다. 구체적으로 조직의 내실화와 활동 역량 강화, 국민 통합을 위한 국민운동 전개, 변화와 소통을 통한 자유 민주주의 공고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변천]

한국자유총연맹 부산시지부는 1963년 12월 5일 「반공 연맹법」[법률 제1477호]에 의거 한국반공연맹 부산시지회로 설립되었다. 1964년 11월 2일 부산·경남지부가 되었으며, 1966년 12월 5일에 부산과 경남지부가 분리되면서, 부산지부 내에 6개 구 지회[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를 조직하였다. 1989년 1월 통일원 부산 북한관을 개관하였고, 4월 「한국자유총연맹 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한국자유총연맹 부산시지부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국자유총연맹 부산시지부는 자유 민주주의 가치를 옹호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이념 단체이다. 주요 활동으로는 조직 활동, 홍보 교육 활동, 포순이 봉사단 활동, 지구촌 재난 구조단 활동이 있다. 홍보 교육 활동으로는 대국민 캠페인과 자유 민주주의 수호 활동, 민주 시민 함양을 위한 민주 시민 교육, 튼튼한 안보를 바탕으로 한 평화 통일 국민운동 등의 이념 교육 활동이 있다. 또한 유엔과 NGO 및 국제 교류 협력 활동을 하고 있으며 지역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독거노인 무료 급식 봉사, 장애인 도우미 봉사 등 봉사단 활동을 통해 사회의 그늘지고 소외된 곳을 찾아 ‘더불어 사는 사회’, ‘함께 만들어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황]

2022년 10월 현재 신한춘 회장을 중심으로 부회장 김재수·정한호·이인·구대원·권영숙·박정순, 사무처장 윤방원, 조직부장 정병철, 총무차장 최유진, 홍보차장 배민근, 조직담당 임새얀 등으로 조직이 편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한국자유총연맹 부산시지부는 자유 민주주의 가치를 수호하는 이념 단체로 활동하면서 봉사 활동 등을 통해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2.11.01 현행화 [현황] 임직원 변경
이용자 의견
한************* 2017년 현재 양재생 회장을 중심으로 부회장 김재수, 정한호, 한형동, 이주한, 권칠우, 정권수, 사무처장 류재호, 총무부장 윤방원, 조직부장, 남연우, 홍보부장 정병철, 총무과장 윤예진, 관리주임 홍성수, 홍보담당 최유진 등으로 조직이 편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 답변
  • 디지털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보내주신 자료를 원고에 반영하였습니다.
2016.12.19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