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분권혁신운동본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996
한자 釜山分權革新運動本部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94번길 54[수안동 500-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동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회단체
전화 051-557-2432|051-557-2438
홈페이지 부산분권혁신운동본부(http://www.bsautonomy.or.kr)
설립 시기/일시 2002년 10월연표보기 - 설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7년 2월 22일 - 단일 회원 조직으로 개편
최초 설립지 부산분권혁신운동본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 94번길 54[수안동 500-1]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분권혁신운동본부 - 부산은행 동래지점 4층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에 있는 지역 발전 관련 시민 단체.

[설립 목적]

한국의 과도한 중앙 집권-서울 수도권 집중 체제를 개혁하여 지역과 나라를 살리고, 나아가 지방 분권에 기초한 참여-연대-생태의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부산분권혁신운동본부는 2002년 10월 133개 시민운동 단체의 연대 조직체로 출발했으며, 2007년 2월 22일 단일 회원 조직으로 개편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분권혁신운동본부는 다른 지역의 지방 분권 운동 본부 및 지방 자치 단체와 연대해 참여 정부 초기에 「지방 분권 특별법」, 「국가 균형 발전 특별법」, 「지방 살리기 3대 특별법」 제정을 이끌어 냈다. 중앙 집권화 된 한국 사회를 지방으로 권력이 분산된 한국 사회로 만들기 위한 많은 노력과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지역민에 의한, 지역민을 위한, ‘지방분권 국민운동’의 사무국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현황]

황한식이 상임 대표를, 그리고 강재호, 고의경, 김수자, 김태경, 박명흠, 송영명, 여창호, 오흥숙, 이한평, 이해수, 장준동, 전중근 등 12명이 공동 대표를 맡고 있다. 그 동안 역대 정부가 수도권 집중을 억제하고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려 했으나 그 실효를 거두지 못하자 다른 지역의 시민들과 연대하여 범국민 지방 분권 운동 활동에 나서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과도한 중앙 집권적 지역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부산 지역의 저성장 문제 해소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분권혁신운동본부(http://www.bsautonomy.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