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온천천네트워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955
한자 溫泉川-
영어의미역 Oncheon-cheon Network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1911[구서동 184-3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정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단체
설립자 연제공동체|낙동강공동체|부산환경운동연합|도시발전연구소
전화 051-507-1857
설립 시기/일시 2000년 4월 3일연표보기 - 온천천살리기네트워크로 설립
개칭 시기/일시 2001년연표보기 - 온천천살리기네트워크에서 온천천네트워크로 개칭
최초 설립지 온천천살리기네트워크 - 부산광역시
현 소재지 온천천네트워크 -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1911[구서동 184-38]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환경 관련 시민 단체.

[개설]

1999년부터 국내의 하천 살리기 운동이 본격화되었는데, 도시 환경 오염의 원인이 샛강이고 이를 회복시키지 않고는 도시 환경이 되살아나지 않는다는 시민들의 요구와 지적이 변화의 계기가 되었다. 정부는 하천 정비 사업 계획을 마련하여 지방 자지 단체에 예산을 지원하였으며, 국내 제1호 하천 정비 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곳이 바로 온천천이었다.

[설립 목적]

온천천네트워크온천천의 자연 하천 복원과 역사 문화 복원을 통한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와, 온천천 르네상스를 위해 주민 중심의 다양한 실천을 펼치며 나아가 지속 가능한 녹색 도시 부산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2000년에 온천천 정비 사업이 추진될 당시, 친환경 사업이 아닌 개발 사업으로 진행될 것을 우려한 연제공동체와 낙동강공동체, 부산환경운동연합, 도시발전연구소 등 4개 시민 단체가 온천천의 생태 보전을 기치로 연대하면서 온천천 생명 문화 축전을 개최하는 것을 계기로 하여 그해 4월 3일에 온천천살리기네트워크가 결성되었다. 2001년에는 단체 간 네트워크에서 온천천 유역 주민 중심으로 변화해 온천천네트워크로 단체명을 변경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온천천네트워크는 매년 온천천 유역 탐사와 도시 하천 기행, 환경 체험 교육, 도시 하천 사진전을 정기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온천천과 관련한 각종 워크숍 및 국제 세미나, 지방 자치 단체 간담회, 민관 환경 행정 협의화와 온천천 환경 구조 조사, 오염 실태 조사, 주민 여론 조사 등을 통해 온천천 미래 구상이라는 종합적인 발전 방안인 온천천 마스터플랜을 작성하기도 하였다. 2000년부터 온천천 생명 문화 축천을 매년 개최하고 있으며, 『온천천 신문』 발행, 생태 조사를 통한 보고서 발간, 온천천 생태 지도 발간, 국내외 선진 자연형 하천 답사 등의 조사 연구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현황]

온천천네트워크의 조직은 공동 대표 2명과 운영 위원회[운영 위원장 1명, 위원 3명], 사무국[사무국장 1명], 간사 1명, 자문 위원 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기준 회원은 약 300명이다.

[의의와 평가]

지방 자치 단체의 노력과 온천천네트워크의 활동을 통하여 온천천부산광역시를 대표하는 시민의 휴식 공간이 되었으며, 각 구역별로 특색 있는 공간을 꾸며 생태·환경적으로도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 악취가 나는 생활 하수가 흐르던 온천천은 이제 오리와 물고기들을 만날 수 있는 생태 자연 하천이 되었으며, 각종 문화 행사가 개최되고 지역 예술가들이 찾는 부산광역시의 문화·예술 중심지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 일보』(http://www.busan.com)
  • 부산시민센터(http://www.ngocenter.or.kr)
  • 한국환경민간단체진흥회(http://www.kengo.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