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6841 |
---|---|
한자 | 障礙兒統合福祉支援-運營事業 |
영어의미역 | Project of Operating a Combined Welfare Support Center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류지선 |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시행되는 장애아 통합복지지원센터 운영 사업.
[제정 경위 및 목적]
장애아 통합복지지원센터는 장애 아동 조기 중재 서비스 환경 변화와 일반 보육 시설 및 일반 학교 내 장애 아동 증가로, 장애 조기 발견·진단·지원 등 장애 아동에 대한 종합적·포괄적 지원 체계와 전문적인 자문 제공이 필요해지면서 그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장애아 통합복지지원센터 운영 사업이 시행되게 되었다.
[내용]
장애아 통합복지지원센터 운영 사업은 장애 아동의 통합 보육 및 복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장애아 통합복지지원센터를 통해 전문적인 지원 체계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도이다. 장애아 통합복지지원센터는 장애아의 재활 자립과 담당 교사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장애아 통합 보육 및 복지 기관[장애아 통합 어린이집, 지역 아동 센터]의 통합 프로그램 체제를 구축하고 관련 실무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자문 및 교육 등을 실시하여, 장애를 가진 아동과 가족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하고자 설립되었다. 장애아 통합복지지원센터는 사회복지사 1명과 특수 교사 3명 등이 진단 평가 영역, 지역 사회 연계 영역, 교사 역량 강화 영역 등 3개 분야에서 활동한다.
사업 대상은 부산 지역의 장애아 통합 기관[장애아 통합 어린이집 및 지역 아동 센터 등 각종 복지 시설]을 이용 중인 장애 아동 중 통합 복지 지원 서비스가 요구되며 서비스 이용에 욕구가 있는 아동과 그 담당 교사이다. 진단 평가 영역은 선별, 진단 사정 및 평가, 보고서 작성, 재활 상담 등이고, 교사 역량 지원 영역은 대상 아동 선정, 교육 사정 및 평가, 부모 상담 자문, IEP 계획·자문, 교육 실행 자문, 재활 전문가 협력, 센터 사례 회의 등이다. 지역 사회 연계 영역은 교육 지원[신규 교사 집중 교육, 교사 교육, 사례 연구 발표회, 연계 기관 사례 회의], 통합 환경 구축 [홍보, 사업 설명회, 연계 기관 협약식, 기관장 간담회, 교사 간담회, 운영 위원회 회의], 인식 개선 프로그램[인식 개선 지원, 인식 개선 교육], 가족 지원[부모 모임 코칭 프로그램, 부모 역량 강화 프로그램] 등이다.
장애아 통합복지지원센터와 관련한 사항은 부산광역시 사회복지과[888-8441~5], 구·군 주민생활지원국, 부산광역시 장애인 종합 복지관 장애아 통합복지지원센터[790-6141~4, 8]에 문의할 수 있다.
[변천]
2008년 ‘장애아 통합 보육 지원 센터 지원 사업’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테마 기획 사업으로 선정되어 모금액을 배분받아 장애아 통합보육지원센터를 개소해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업으로 운영되었으나, 2010년부터 부산광역시의 예산 편성으로 사업을 지속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센터명이 장애아 통합복지지원센터로 개칭되면서 사업의 명칭도 장애아 통합복지지원센터 운영 사업으로 변경되었다. 2012년부터 지역 아동 센터 부산지원단과의 협약, 부산대학교 특수교육학과와의 협약 등을 통해 서비스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장애아 통합복지지원센터 운영 사업은 2008년 시행 이후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장애 아동을 위한 통합적, 포괄적 종합 지원 체계로서 장애 아동과 부모뿐만 아니라 관련 실무자들의 역량 강화 및 사회적 지지 체계 확대를 위해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는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