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273
영어의미역 Children’s House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운봉길 135[반송동 61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백정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회 복지 시설
면적 1,577㎡[건물 면적]
전화 051-542-5980
홈페이지 아이들의 집(http://childrenshome.or.kr)
개관|개장 시기/일시 1954년 9월연표보기 - 성모 보육원 개원
이전 시기/일시 1979년 1월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 94-1에서 해운대구 반송동 614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88년 12월연표보기 - 성모 보육원에서 아이들의 집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1년 1월 - 영아원 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2월 - 조기 교육 시작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3월 - 부산혜남학교 초등부 분교 시작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10월 - 그룹 홈 시작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5월 - 장애인 생활 시설 우수 시설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월 - 마리아동 증축, 개보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2월 - 요셉동 증축, 개보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1월 - 유희동 개보수
최초 설립지 성모 보육원 - 부산광역시 서구 망양로 95-2[동대신동 3가 94-1]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아이들의 집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운봉길 135[반송동 614]
현 소재지 아이들의 집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운봉길 135[반송동 614]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에 있는 장애 영유아 보육 시설.

[건립 경위]

도변말자 수녀가 전쟁고아들 중에서도 영유아를 보살피기 위하여 1954년 9월 현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 94-1번지에 영아 수용 시설인 성모 보육원을 개소하였다.

[변천]

1961년 1월 영아원 인가를 받았다. 1979년 1월에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 94-1번지에서 현 위치인 해운대구 반송동 614번지에 있는 신축 원사로 이전하였다. 1988년 12월에 장애 영아의 수용 보호와 교육 및 재활 치료를 목적으로 시설 목적을 변경하고 성모 보육원에서 아이들의 집으로 개칭하였다. 1994년 2월에 조기 교육을 시작하였고 1997년 3월에 부산혜남학교 초등부 분교를 시작하였다.

1998년 10월에 그룹 홈을 시작하였고 1999년 8월에 수치료실을 신설하고 물리 치료실을 수리 및 보강하였다. 2002년 5월 장애인 생활 시설 우수 시설로 선정되었다. 보건복지부의 기능 보강 사업으로 2006년 1월에 마리아동을 증축, 개보수하였고 2007년 2월에 요셉동을 증축, 개보수하였다. 2007년 11월에 유희동을 개보수하여 준공하였다. 2008년에 시설 환경 개선 공사를 완료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구성]

아이들의 집은 건물 면적이 1,577㎡이며 내부 시설로는 아동방 8개, 치료실 2개, 조기 교육실 2개, 놀이방, 의무실, 수치료실, 자기 치료실, 세탁실, 주방, 식당 봉사자실 등이 있다.

[현황]

아이들의 집은 영원한 도움의 성모수녀회에서 운영하고 있다. 2013년 현재 민광한 원장을 비롯하여 사무국장 1명, 조기 교육 교사 1명, 영양사 1명, 간호사 2명, 물리 치료사 2명, 언어 치료사 1명, 생활 재활 교사 19명, 취사원 2명, 세탁원 1명, 기타 2명 등 총 33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입소 정원은 41명이다.

주요 서비스는 교육 재활, 물리 치료, 언어·섭식 교육, 일상생활 재활, 사회 재활[사회 적응 훈련] 등을 제공한다. 먼저 교육 재활은 조기 교육이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5개의 영역별 개별화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고, 언어 치료는 언어 검사를 통한 언어 장애 유형, 언어력 수준, 언어 치료 교육의 필요성 여부를 결정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의사소통 판 컴퓨터 등을 활용하여 다양하게 치료하고 있다.

일상생활 재활에서는 중증 장애 아동 개개인에게 알맞은 보호 장구를 마련하여 올바른 자세를 훈련시키고 외출용 휠체어를 최대한 활용하여 원내외를 산책하며 환경 적응과 사회 적응 훈련을 통한 많은 경험의 기회를 갖게 하고 있다. 또한 그룹 홈 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있는데 움직임이 가능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어린이들을 따로 떼어서 두 동의 독립된 집에서 일반 가정과 같은 환경을 조성하여 생활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광역시 장애인복지시설연합회(http://www.bawid.or.kr)
  • 아이들의 집(http://childrenshome.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