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6267 |
---|---|
한자 | 聖友院 |
영어의미역 | Seonguw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톳고개로 48[연산동 10-5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백정원 |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장애인 생활 시설.
[건립 경위]
가정이 없거나 가정에서 보호하기 어려운 지적 장애인 또는 발달 장애인에게 장애 유형과 중증도에 따라 개별화된 재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신장시켜 사회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장기간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건립되었다. 1964년 6월 9일 구덕 불구원으로 서구 서대신동에서 개원하였다.
[변천]
1965년 2월 25일에 구덕 불구원 시설 허가를 받고, 1972년 2월 25일에 성우원 합주부를 창단하였다. 1979년 6월 29일에 시설 명칭을 성우원(聖友院)으로 변경하였고, 1980년 8월 25일에 본관 및 별관을 신축·완공하고, 연제구 연산동으로 이전하였다. 1988년 4월 11일에 생활관 및 재활관을 신축·완공하였다. 1988년 12월 27일에는 시설 자립 작업장을 신축·완공하였고, 1990년 4월에 복지관 보호 작업장을 증축하여 완공하였다. 1999년 5월 1일에 장애인 직업 재활 시설 ‘성우원 보호 작업장’으로 시설 인가를 받고 성우원에서 분리하였다. 2000년 10월 31일에 장애인 시설 신고를 하였으며, 2010년까지 B동, C동, D동, G동, H동을 증·개축하였고, 2010년에는 체험 홈 1과 체험 홈 2를 갖추어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2010년 12월에 아산복지재단 아산상을 수상하였고, ‘2010년 사회 복지 시설 평가’ 부산 최우수 시설로 선정되었다.
[구성]
성우원의 본관 연면적은 1,390㎡, 신관 및 체험 홈은 총면적 1,521.73㎡이며, 3층짜리 본관 G동과 3층짜리 신관 D동, 주로 사무실과 교육실이 있는 4층짜리 건물 B동, A동, H동 그리고 체험 홈 1·2로 구성되어 있다. 본관 1층에는 물리 치료실, 의무실, 자원봉사자실, 식당, 취사장, 화장실 등이 있고, 2층에는 강당, 프로그램실 2개, 화장실, 게스트룸 등이 있다. 3층에는 입소자 거주 공간이 6개실 있다. 신관 D동에는 직원실 및 입소자 거주 공간이 4개 있고, 3층에는 강당이 있고, 지하에는 보일러실이 있다. B동은 창고, 교육실을 비롯하여 주로 사무실이 있고 A동은 창고, 식당, 펌프장, H동은 창고, 직원 숙소로 구성되어 있다.
[현황]
성우원은 부산광역시 연제구 톳고개로 48번에 있으며, 사회복지법인 성우원에서 운영하고 있다. 2013년 현재 김창숙 원장을 비롯하여 사무국장 1명, 사회 재활 교사 1명, 간호사 1명, 영양사 1명, 물리 치료사 1명, 생활 재활 교사 34명, 취사원 3명, 세탁원 1명, 촉탁 의사 1명 등 총 45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입소 정원은 125명이다. 입소 대상자는 국민 기초 생활 보장 수급권자인 6세 이상의 등록 장애인[지적 장애인·발달 장애인] 또는 등록 장애인으로 부양 의무자가 없거나 부양 의무자가 있어도 부양 능력이 없어 부양받을 수 없는 자이어야 한다. 이때 부양 의무자 및 부양 능력 유무는 관할 행정 기관에서 판단한다.
입소 절차는 입소 상담을 먼저 하고 입·퇴소 위원회에서 장애 유형과 일상생활 능력, 건강 상태, 욕구, 가정 실태 조사 등을 통해 적합성 여부를 판정하여 입소가 가능하다고 판별되면 입소 의뢰서를 통보하고 입소하게 된다. 시설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으로는 일상생활 지원과 생활 지도, 사회 심리 재활, 의료 재활, 영양 급식, 지역 사회 개방 등이 있다. 동아리 활동도 할 수 있는데, 성우 Angles Phil 합주단, 탁구부, 축구부, 배드민턴부, 미술부, 벨리 댄스부, NIE[신문 활동 교육]부, 수예부, 종이접기부, 동화 구연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