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6221 |
---|---|
한자 | 釜山- |
영어의미역 | Busan Soteria House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덕로 59[덕포동 403-14]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해긍 |
[정의]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정신 장애인 사회 복귀 시설.
[개설]
정신 장애인 사회 복귀 시설은 정신 질환 장애인을 정신 의료 기관에 입원시키거나 정신 요양 시설에 입소시키지 않고, 주거를 제공하며 사회 복귀 촉진을 위한 훈련을 행하는 복지 시설이다.
[건립 경위]
모심원이 건립·운영하는 시설로, 미국의 소테리아 하우스 프로젝트(Soteria House Project)에서 추구하는 지역 사회 정신 의학 개념을 수용하여 정신 질환을 개인 생활의 연속선상에서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 사회의 일원으로서 성장 및 발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소테리아(Soteria)’는 그리스어로 ‘해방 또는 구출’을 뜻한다. 2006년 12월 시설 설치를 신고하였고, 2007년 4월 창립총회를 통해 사상구 덕포동에 부산 소테리아 하우스로 개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구성]
대지 면적 310.3㎡, 건물 연면적 707.72㎡의 4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1층에는 휴게실, 재활 작업실, 식당, 주방, 2층에는 프로그램실, 사무실, 상담실, 수련실, 3층에는 체력 단련실, 4층에는 여성 입소 시설 등이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이용 대상은 만 15세 이상의 정신 장애인으로 정신과 병원에 입원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통원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정신 분열병, 조울병 등 만성 질환]이며, 이용 정원은 51명이다. 입소는 여성 정신 장애인만 가능하며, 정원은 26명이다. 주거 훈련 프로그램[입소 시설 운영, 입소 생활 훈련을 통하여 회원 스스로 독립 주거지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 직업 훈련 프로그램[체계적인 직업 재활 치료를 실시하여 직업 적응 및 유지 기술을 향상시켜, 일을 통한 재활 훈련 실시], 정신 재활 프로그램[정신 장애인의 사회 적응 및 직업 재활과 관련한 다양한 정신 사회 재활 프로그램 제공] 등을 비롯하여, 가족 지원 프로그램, 지역 사회 연계 사업, 사례 관리 사업 등을 제공·추진하고 있으며, 이외 미술 치료, 노래 교실, 도자기 교실, 컴퓨터 교실, 사회 체육 교실 등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