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6017 |
---|---|
한자 | 仁濟大學校釜山白病院 |
영어공식명칭 |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
이칭/별칭 | 부산백병원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복지로 75[개금동 633-165]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성향숙 |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인제대학교 부설 종합 의료 기관.
[개설]
종합 병원은 「의료법」 제3조 3항에 의하여, 1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춘 대형 의료 기관이다. 300병상 이하인 종합 병원의 경우에는 내과·외과·소아청소년과·산부인과 중 3개 진료 과목, 영상의학과·마취통증의학과·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를 포함한 7개 이상의 진료 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 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어야 한다.
300병상을 초과하는 종합 병원의 경우에는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 정신건강의학과 및 치과를 포함한 9개 이상의 진료 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 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어야 한다.
[설립 목적]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은 ‘인술제세(仁術濟世)[인술로 세상을 구한다]’와 ‘인덕제세(仁德濟世)[어진 덕으로 세상을 다스린다]’를 실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79년 6월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개금동 633-165번지에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으로 개원[500병상]하였다. 1984년 6월 암센터, 1988년 11월 성인병 센터, 1994년 6월 장기 이식 연구소, 1996년 1월 임상 약리 센터, 2002년 5월 심장 혈관 센터, 2006년 6월 당뇨병 센터, 2010년 12월 심뇌혈관 질환 센터를 각각 개소하였다. 2011년 6월 보건복지부 의료 기관 인증을 획득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은 내과,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혈액종양내과, 내분비대사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감염내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피부과, 외과 등 35개의 진료과를 두고 있다. 또한 신장 센터, 장기 이식 센터, 심장 이식 센터, 조혈 모세포 이식 센터 등 13개의 특수 센터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진료 과별로 특성화된 클리닉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임상 의학 연구소에서는 공공 보건 의료 사업 지원단을 설치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의료 기기 임상 시험 센터, 인제 바이오 뱅크를 설치하여 임상 의학 연구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은 본관[지하 2층 지상 11층], 임재관[지하 1층 지상 11층], 청송관[지하 3층 지상 7층], 물리 치료동[지상 4층] 등 4개의 건물[의과 대학동 제외]로 구성되어 있으며, 26개 진료과에 900병상 규모를 갖추고 있다. 전문의·의사 등 의료진을 포함하여 총 1,995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감마나이프, PET-CT, MRI, CT, X-ray 등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은 매주 시민 건강 교실, 웰빙 건강 강좌, 당뇨 교실, 비만 교실, 파킨슨병 교실, 산모 교실, 노인 대학 건강 강좌, 경로당 방문 등의 건강 강좌를 통하여 건강 상식과 의료 정보를 시민들에게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의료가 낙후된 지역과 수해 피해 지역을 순회하면서 봉사를 하고 있다. 어려운 환경의 심장병 어린이에게는 무료 수술을 하여 어린이에게 꿈과 희망을, 소외된 우리 이웃을 찾아 사랑을 실천하고, 장기 입원으로 인하여 학교를 다닐 수 없는 어린이에게 ‘어린이 병원 학교’를 개교하여 아이들에게 사랑 교육을 전파하고 있다. 2009년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어르신 우선 진료 제도’를 도입·시행하고 있으며, 매월 경로당을 방문하여 의료 상담 및 물리 치료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