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935 |
---|---|
영어의미역 | Dwitgol Villa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뒷골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주영택 |
성격 | 자연 마을 |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남면 재송리 |
변천 시기/일시 | 1942년 - 경상남도 동래군 남면 재송리에서 경상남도 부산부 수영출장소 재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3년 - 경상남도 부산부 수영출장소 재송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해운대출장소 재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경상남도 부산시 해운대출장소 재송동에서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재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0년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재송동에서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재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재송동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으로 개편 |
자연 마을 | 뒷골 마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뒷골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뒷골 마을의 장산 서북쪽 기슭에 뒷골[後谷]·안골[內谷]·서당골[書堂谷]이 있었는데, 각 골짜기의 이름을 따서 마을 이름으로 부르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세 계곡을 통칭하여 뒷골 마을로 부르게 되었다.
[형성 및 변천]
뒷골 마을은 임진왜란[1592] 때 충청도 회덕에서 피난 온 고씨가 15대째 살고 있으며, 서당골에는 송응지[1525~1588]가 자리를 잡고 정착했다고 은진 송씨(恩津宋氏) 족보에 기록되어 있어 오랜 거주 역사를 짐작할 수 있다. 마을은 조선 후기 동래군 동하면(東下面) 재송포에 속하였다가 1914년 남면 재송리 뒷골 마을이 되었다. 1942년 부산부 수영출장소로 개편되었다가 1953년 해운대출장소 관할이 되었으며, 1957년 1월 구제 실시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80년 4월 해운대출장소가 해운대구로 승격하였고,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재송동 뒷골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뒷골 마을은 동쪽으로 위봉에서 뻗은 산줄기가 자리하고, 서쪽으로는 수영강이 흐르다가 남쪽에서 온천천과 합류한다. 현재는 도시화로 형태가 뚜렷하지 않으나, 본래는 장산의 서북쪽 기슭은 소나무가 울창한 산골이었다고 전하며, 뒷골·안골·서당골이라 불리는 계곡이 세 개 있었다. 현재는 이 계곡 세 개를 통칭하여 뒷골 또는 후곡이라고 부른다.
[현황]
뒷골 마을은 현재의 해운대경찰서가 있는 주변으로 안골에는 삼익 아파트가 들어서는 등 인근에 아파트 단지와 주택이 들어서며 옛 모습은 자취를 감추었다. 서당골에는 재송재(栽松齋)[재송 2동 215번지에 있는 은진 송씨 삼성공파 재실]가 자리 잡고 있으며, 송문 삼성 학습원[서당골 서당이 있던 자리에 문중 조상의 유업인 서당을 재현하는 뜻에서 건립]도 있다. 재송 1동 산정 아래 새마을 당사에서 매년 9월 9일 자정에 제를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