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다대포실용학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718
한자 多大浦實用學校
영어의미역 Dadaepo Practical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529번길 11[다대동 1140-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근대 학교
설립자 한경호
개교 시기/일시 1904년연표보기 - 다대포사립실용학교 개교
폐교 시기/일시 1945년 4월 1일연표보기 - 폐교
개칭 시기/일시 1939년 3월 28일연표보기 - 다대포사립실용학교에서 다대포실용학교로 개칭
최초 설립지 다대포사립실용학교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 529번길 11지도보기

[정의]

일제강점기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포에 설립된 근대 학교.

[설립 목적]

다대포실용학교의 연혁지에 보면 창립 동기가 실려 있다. ‘다대포는 역사 이래 반도의 가장자리 동쪽 위에 위치한 중요 지역으로, 고을을 다스리는 첨사는 무반 3품의 이력으로 감목관을 겸임하여 군인으로서 민정을 다스렸던 관계로 권학답 30두지와 권무답 30두 5도를 관내에 설치 운영하여 학문을 권장하였으므로 그간 문관 수재와 무관들이 계속 배출되어 왔으나, 갑오년과 을미년 두 해에 걸쳐 시국이 변하여 풍조가 급격히 바뀌는 세상의 추이에 따라 옛날 풍습은 자연히 사라지고 시대에 맞추고자 하는 기류가 차츰 강렬해지므로 학교를 세우고자 함도 이에 따르고자 함이다.’라고 되어 있다.

[변천]

다대포사립실용학교는 한경호가 주체가 되어 1902년 창립하고 1904년에 개교하여 1909년에 부산부의 인가를 받았다. 학교 이름이 실용인 것은 ‘실지응용(實地應用)’이라는 뜻으로 이 시기 사회적 분위기의 영향을 받았던 듯하다. 처음 세워졌을 때 학교 위치는 다대진 성터, 교실은 다대 첨사영 건물을 수리하여 사용하고 이것에 부속되어 있는 관유지를 운동장으로 사용하였다. 설립 당시 교장 윤필호, 교원 한홍수, 일본어 교사 야마다로 구성되었다.

학교 설립에 필요한 재원은 기부금과 권학답의 매매 대금, 그리고 1910년에는 목장 토지의 매매 대금 200원이 포함되었다. 1939년 3월 28일 당시 교장인 한오동이 교명을 ‘다대포실용학교’로 바꾸고 학교를 재정비하였다. 1941년 학교령이 공포되자 1943년 4월 1일 다대포공립국민학교 설립 인가를 얻어 그해 5월 22일에 개교하게 되면서 다대포실용학교와 병행하여 운영하였다. 그러다가 1945년 4월 1일 3학년 3학급을 다대포공립국민학교에 인계하고 폐교하였는데, 이것이 지금의 다대초등학교이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보통학교의 교과목은 12과목이었는데, 이중에서 4과목은 필수였고, 나머지는 지역 사정에 따라 선택할 수 있었다. 12과목은 수신, 일본어, 조선어 및 한문, 산술, 이과, 창가, 체조, 도화, 농업 초보, 상업 초보와 남자는 수공, 여자는 재봉 및 수예이다. 이 가운데 필수 4과목은 수신, 일본어, 조선어 및 한문, 산술이었다. 이 시기 교육의 속성을 알 수 있는 것이 ‘조선어 및 한문’ 과목인데, 한문의 비중을 더 두게 하고 교묘하게 조선어 교육을 없애려는 것이었다. 보통학교의 교과서는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것을 사용했으며, 초기에는 무상으로 대여하였다. 이는 공립 보통 학교에 학생을 유인하기 위한 것으로 초기에는 수업료를 받지 않았던 것과 관련된다.

다대포실용학교의 교과목은 다음과 같다. 1915~1920년의 교과목은 수신, 국어[독해, 회화, 작문], 습자, 조한, 산술, 체조, 창가, 도화, 농업이었다. 1, 2, 3학년은 농업을 배우지 않았다. 1921~1934년은 수신, 국어, 조선어 및 한문, 산술, 이과, 창가, 체조, 도화, 농업 등 9개 과목인데, 1, 2학년은 이과, 농업을 배우지 않았다. 1935~1942년은 수신, 국어[독화, 철방, 서방, 화방], 조선어[화방, 철방], 산술[필산, 주산], 국사, 지리, 직업, 도화, 창가, 체조 등 10개 과목이다. 1, 2, 3학년은 주산, 이과를, 1, 2, 3, 4학년은 국사, 지리, 직업을 배우지 않았다. 1943~1945년은 국민과[수신, 국어, 국사, 지리], 이수과[산수, 이과], 체련과[체조], 예능과[음악, 습자, 도화, 공작], 직업과[농업, 공업, 상업, 수산] 등 15개 과목이다. 이 가운데 1, 2학년은 습자를, 1, 2, 3학년은 직업과를 배우지 않았다.

이상이 다대포실용학교에서 배운 과목들이다. 1915년에서 1939년 5월까지는 4년제였고, 이후는 6년제였다. 수신은 오늘날 도덕이고, 국어는 일본어를 가리킨다. ‘조선어’는 1943년 이후에는 없어져 그동안 조금이나마 진행되었던 조선어 교수 시간은 완전히 사려지고, 오로지 일본어만 공부하기에 이른다. 해가 바뀔수록 교과목 수는 늘어났는데, ‘주산, 이과, 공작, 직업’ 등 실업 교육 관련 교과목이 증가하였다. 이 점은 학교 교육에서 실업 교육이 중시되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1943년부터는 국민과, 이수과, 체련과, 예능과로 묶어서 교과목을 교수하였다.

기록에 남아 있는 입학생과 졸업생 수는 다음과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의와 평가]

다대포실용학교는 부산 사하 지역에 설립된 최초의 민간 주도 사립 학교로, 이 지역의 교육열을 잘 알 수 있게 해주는 사례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