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585 |
---|---|
한자 | 釜山硏究院 |
영어공식명칭 | Busan Development Institute |
이칭/별칭 | 동남개발연구원,부발연,BDI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955[양정동 273-2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성훈 |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정책 연구 기관.
[설립 목적]
부산연구원은 「지방 자치 단체 출연 연구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법률 제11398호, 2012. 3. 21]과 「부산발전연구원 운영 및 지원 조례」[조례 제4625호, 2011. 6. 8]에 의거, 지방화·세계화 시대를 맞아 세계로 열린 환태평양의 거점 도시인 부산을 중심으로 한 부산광역권의 지역 경제 활성화와 효율적인 지역 개발을 위한 종합적, 체계적 연구로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1992년 8월 18일 동남개발연구원으로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우동의 수영만 요트 경기장 내 건물에서 개원하였다. 1994년 6월 18일 부산발전연구원으로 변경하였고, 1997년 7월 18일 「부산발전연구원 육성 조례」가 제정되었다. 1999년 5월 17일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으로 이전하였고, 2000년 1월 12일 「지방 자치 단체 출연 연구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2003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정책개발실과 통합하였고, 2006년 1월 24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의 상수도 종합 청사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19년 1월에 부산발전연구원에서 부산연구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시정의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 및 주요 정책 과제에 대한 조사·연구, 시정 주요 현안 사항에 대한 조사·연구, 시정의 주요 시책 및 사업 계획의 타당성 검토, 시정의 각종 용역 발주에 따른 과제 수행 및 과제 내용의 검토·자문, 출연 기관 및 타 기관·단체의 각종 연구 용역 과제 수행, 도시 발전에 관련된 국내외 정보 및 자료의 수집·가공·출판, 국내·외 연구 기관과의 교류 협력 사업 등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이사장[부산광역시장]을 포함한 이사회 아래 원장과 연구지원실 20명, 경제산업연구실 18명, 지역재창조연구실[부산학연구센터] 21명, 광역기반연구실 18명, 녹색도시연구실 18명, 부산경제교육센터 4명, 해운대거래정보센터 6명, 3 2명 등 총 5실 3센터에 108명의 직원[연구직 포함]이 근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