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462 |
---|---|
한자 | 釜山綠色環境支援- |
영어공식명칭 | Busan Green Environment Center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대연동 430-1]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장영실관(C12) 203호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상목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환경 관리 기관.
[설립 목적]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는 부산 지역의 환경 기술 개발 연구 역량의 극대화를 추구하며 지역 현안 문제와 관련한 민원을 해결하고 환경 교육 실시 및 환경 정보를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역 특화 환경 산업을 육성하고, 산업체 지원 및 지역 환경 정책 추진을 위한 핵심 기능을 수행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2005년 4월 13일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430-1번지에 있는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에 환경부 지정 기관으로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환경부 지정 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제17호]가 설립되었다. 2009년 환경부 주관 사업 실적 정기 평가에서 환경 교육 사업 분야 최우수 센터로 선정되었다. 2011년 10월 29일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에서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로 개칭되었다. 2011년, 2012년 환경부 주관 사업 실적 정기 평가에서 종합 우수 센터로 선정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주요 사업은 연구 사업, 교육·홍보 사업, 기업 환경 지원 사업이다. 첫째, 연구 사업으로 환경 정책 연구·개발 사업 및 환경 현안 조사·연구 사업, 산·학·연[산업계, 학계, 연구 분야] 협력 연구 개발 사업, 수탁연구 개발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둘째, 교육·홍보 사업으로 부산 지역 내 환경 관리인에게 실제로 필요한 환경 정보를 제공하며, 최신 환경 관련 기술 및 환경 문제에 대한 세미나 및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각계 전문가들과의 의견 교환 및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각종 매체를 이용하여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의 연구 성과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기업 환경 지원 사업은 부산 지역 기업체의 환경 애로 사항에 대한 진단 및 개선 방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오염 물질 배출의 사전 예방 및 생산 원가 절감 등으로 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힘쓰고 있다. 체계적인 기업 환경 지원 사업을 위한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있다. 기업체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소요 비용[실험 분석비, 기술 지원 수당, 출장비]를 지원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조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의회로 행정협의회, 연구협의회를 두고 있다. 행정협의회는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 운영 관리 규정 제정·개정,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 기본 사업 계획 심의, 연구 과제 심의·확정, 사업 예산·결산 심의를 담당한다. 연구협의회는 연구 개발 사업의 계획 수립, 연구 개발 과제 선정 및 관리, 기술 인력 교육, 훈련 방안 강구, 기업체 기술 지원을 담당한다. 둘째, 위원회로 연구사업평가위원회, 연구위원회, 교육·홍보자문위원회, 기업환경자문위원회가 있다.
셋째,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장 하에 연구협력실과 사무국이 존재하며 연구협력실은 연구기획·관리부, 기업환경지원부, 교육·홍보부, 조사평가부로 구성된다. 사무국은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 운영 및 관리, 예산 회계 및 행정 실무,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 소유 시설 장비 관리,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 기능 강화 및 홍보를 담당한다.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 구성원은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장, 연구협력실장, 사무국장, 연구기획관리부장, 기업환경지원부장, 교육홍보부장, 조사평가부장 및 연구원 4명이다.
[의의와 평가]
부산 지역은 중앙 정부의 획일적인 규제로는 능동적인 대처가 곤란한 환경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건에서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는 부산 지역 내 환경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지역 환경 문제의 자율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