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427 |
---|---|
한자 | 釜山-蔚山-慶南-工業協同組合 |
영어공식명칭 | P.U.K Asc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남산로1번길 62[팔용동 197-5] 아스콘 회관 3층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혜영 |
[정의]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지역에 있는 아스콘 제조업체 협동조합.
[설립 목적]
부산·울산·경남아스콘공업협동조합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업의 건전한 발전과 조합원 상호 간의 복리 증진을 도모하며 협동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중소기업 협동조합 법」에 의거하여 1985년 9월 20일 한국아스콘공업협동조합이 설립되었고, 11월 29일 한국아스콘공업협동조합 설립 인가[상공부장관 인가 번호 제132호]를 받았다. 1986년 2월 15일 부산경남지역협의회가 개설된 이후, 10월 29일 부산경남아스콘공업협동조합설립추진위원회가 구성되었다.
1987년 4월 1일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현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대진 빌딩 603호에 소조합 사무소를 개설하였다. 1987년 5월 1일 부산경남아스콘공업협동조합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1987년 6월 16일 소조합 설립 인가[부산직할시장 인가 번호 제16호]를 취득하였다. 1987년 10월 15일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대진 빌딩 603호에서 초량동 1159-10번지 청산 빌딩 503호로 주 사무소를 이전하였다.
1990년 8월 17일 부산경남아스콘공업협동조합에서 부산경남아스콘사업협동조합으로 변경하였다. 1990년 8월 30일 경상남도 창원시 중앙동 81-2 대륙 빌딩 4층에 경상남도 분사무소를 개설하였다. 1990년 12월 20일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1159-10번지 청산 빌딩 503호에서 초량동 평화 빌딩 5층으로 주 사무소를 이전하였다. 1993년 7월 경상남도 창원시 팔용동 197-5번지에 부산경남아스콘사업협동조합 회관을 준공하여 이전하였다. 1997년 3월 부산경남아스콘사업협동조합에서 현재의 부산·울산·경남아스콘공업협동조합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울산·경남아스콘공업협동조합은 조합원의 복리 증진과 균형 있는 국민 경제 발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첫째, 생산·가공·수주·판매·구매·보관·운송·환경 개선·상표·서비스 등의 공동 사업과 공동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단지와 공동 시설을 조성하고 관리 및 운영한다. 둘째, 조합원 간 사업을 조정하고자 할 때, 중소기업자가 아닌 자가 부산·울산·경남아스콘공업협동조합의 사업 분야를 침해한 경우 주무 관청에 조정 신청한다.
셋째, 「중소기업의 사업 영역 보호 및 기업 간 협력 증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위탁 기업체와 조합원인 수탁 기업체 간의 계열화 알선과 조정 업무를 수행한다. 넷째, 조합원이 생산하는 제품에 대하여 산업 표준화를 추구하며 검사나 시험 연구에 관한 사항들을 처리한다. 다섯째, 조합원에 대한 사업 자금의 대부나 대부를 알선하고 조합 자체 사업을 위한 자금을 차입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여섯째, 조합원의 사업에 관한 경영·기술 및 품질 관리의 지도, 조사 연구, 교육 및 정보의 제공에 관한 사업을 수행한다.
일곱째, 조합원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기 위하여 단체 계약을 체결한다. 여덟째, 조합원이 생산하는 제품의 수출과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와 시설재 수입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아홉째, 국가, 지방 자치 단체, 중앙회나 연합회로부터 위탁받은 사업을 수행한다. 열째, 조합원에 대한 복리 후생 업무를 담당한다. 열한 번째, 수출 진흥을 위한 해외 전시나 판매장을 설치하고 관리한다.
[현황]
2013년 현재 동신아스콘 정영용 대표 이사가 부산·울산·경남아스콘공업협동조합의 이사장을 맡고 있으며, 조합원은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 지역의 70개의 아스콘 제조업체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아스팔트 콘크리트 사업은 국가 경제의 기반이 되는 도로 주요 포장재를 공급하는 제조업으로, 도로 교통의 발전과 관련된 주요한 국가적 필수 산업이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산업의 특성상 공급이 한정되어 대형 시설의 설치가 불필요하며 공급 가능한 권역 내 적합하고 적당한 소기업이 분산되고 존치(存置)되어야 하는데 이를 해당 지역 내 협동조합인 부산·울산·경남아스콘공업협동조합이 적절하게 조정하여 적기 공급 및 양질의 제품을 제공하게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