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404 |
---|---|
한자 | -硏究- |
영어공식명칭 | Universal Design Research Center |
이칭/별칭 | 경성대학교 유니버설디자인연구센터,유니버설디자인 특성화 디지인센터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대연동 산37-1] 경성대학교 문화관 1층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지용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 연구 기관.
[개설]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이란 연령과 성별, 국적[언어], 장애의 유무 등과 같은 개인의 능력과 개성의 차이와 관계없이 처음부터 누구에게나 공평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제품, 건축·환경, 서비스 등의 구현[디자인]을 의미한다.
[설립 목적]
유니버설디자인연구센터는 산업자원부[현 산업통상자원부]가 시행한 산업 기술 기반 조성 사업에 의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2004년 6월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 구축 사업’의 주관 기관으로 유니버설디자인연구센터가 지정되었다. 2005년 4월 『유니버설 디자인』, 『디자인 생태학』, 『사용자 중심 디자인』 등을 출판하고, 11월 ‘2005 유니버설 디자인 공모전’을 추진하였다.
2006년 3월 『장애인, 고령자의 일상생활 불편함 조사 사업 보고서』[일본 공용품추진기구(共用品推進機構)]를 번역 보급하였다. 2006년 5월 연구 센터 부설 ‘유니버설 디자인 체험 전시관’을 개관하고 『유니버설 디자인 연구』, 『디자인과 감성』,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출판하였으며, 11월 ‘2006 유니버설 디자인 공모전’을 추진하였다.
2007년 5월 『유니버설 디자인 우수 상품 육성을 위한 인증 제도 도입 방안』을 작성하여 보급하였고,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 구축 사업 1단계를 종료하였으며, 6월 ‘2007 신기술 디자인 개발 사업’[바이콤]을 수행하였다. 9월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 구축 사업 2단계를 시작하였고, 공공 디자인 개선 사업[지역형], ‘동래온천 공공 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공동 수행 기관]. 10월 국제감성과학회 ‘KEER 2007’에서 학술 발표를 하였다[Study on the Evaluation Standard for a Certification of Universal Design].
2008년 3월 장애인인권협회와 공동 주관으로 ‘세상 밖으로’ 전시 프로모션을 수행하였고, 4월 ‘2008 UD 개발 지원 사업’[원우상사]을 수행하였다. 6월 『유니버설 환경 디자인』, 『디자인 매니지먼트 이론과 응용』 등을 출판하고 ‘2008 신기술 디자인 개발 사업’[HDR]을, 8월 ‘2008 디자인 컨설팅 사업’[세비앙]을 각각 수행하였다. 11월 ‘2008 부산 신기술 발명 박람회’와 ‘DIC(Design Innovation Center) 워크숍 성과 전시회’에 각각 프로모션 참가하였고, 12월 ‘2008 하반기 중소기업 이전 기술 개발 사업’[가온에이스]을 수행하였다.
2009년 3월 ‘2009 UD개발 지원 사업 1단계’ 현장 맞춤형 디자인 어드바이저 파견사업[모터웰, SCnK, 타코스]을, 4월 ‘2009 UD개발 지원 사업 2단계’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상품화 디자인 개발[SCnK, 타코스]을 각각 수행하였다. 또한 ‘Berrier Free 2009 일본 오사카 건강 복지 박람회’에 프로모션 참가하였다. 5월 유니버설 디자인 콘텐츠를 개발하여 ‘고령화 사회에 대응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필요성’ 등 8건을 작성 보급하였고, 7월 ‘2009 부산 실버 엑스포’에 프로모션 참가하였다. 2009년 8월 '위탁 연구 개발 사업’[세비앙]을 수행하였고, 9월 지식 경제 기술 혁신 사업에서 ‘디자인 거점 센터 사업’ 참여 기관으로 지정되었다. 10월 ‘기술 이전 사업을 위한 자체 디자인 개발 과제’를 수행하였고, 12월 ‘2009 부산 발명·신기술 박람회’에 프로모션 참가하였다.
2010년 2월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 구축 사업의 2단계가 종료되었고, 2011년 6월 연구 보고서 『고령화 사회의 노약자를 위한 생활 가전 기기의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지식경제부 지원]을 출판하였다. 2012년 1월 ‘DIC 워크숍 성과 전시회’에 프로모션 참가하였고, 2월 지식 경제 기술 혁신 사업 ‘지역 디자인 혁신 사업’ 1단계가 종료되었으며, 또한 이동 편리 경로 안내도[인쇄 매체, 어플리케이션]를 부산디자인센터[현 부산디자인진흥회]와 공동으로 개발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유니버설 디자인 기반 기술의 산업적 활용 및 디자인 결과물의 사용을 제고한다. 유니버설 디자인 체험 및 전시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유니버설 디자인 제품 개발 지원 및 용역 사업을 하며, 디자인 결과물 사용 평가 및 컨설팅,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콘텐츠를 개발·공급하고 있다. 부설 ‘유니버설 디자인 체험 전시관’을 운영한다. 일반 시민과 기업 실무자를 대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유용성에 대한 체험을 통해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시와 체험 프로모션을 전개하고 있다.
[현황]
2013년 9월 현재 센터장 1명, 참여 교수 5명, 연구원 4명이 있다. 조직은 센터장 아래 운영위원회, 장비도입위원회, Monitoring Group, Working Group[산업체 종합 지원]이 있다. 산업체 종합 지원 아래 Design Greation Lab, User & Product Research Lab, 행정 지원 및 체험관 운영, Database La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시설은 체험관 1, 체험관 2, 연구소, 회의실, 장비실, 사용성평가실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유니버설디자인연구센터는 부산 지역에 위치한 국내 유일의 정부가 인정한 ‘유니버설 디자인 특성화 디자인 센터’이다. 인간이 중심이 된 디자인을 통한 삶의 질 향상 실현을 존립 목표로 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