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398
한자 釜山經濟振興院-産業振興-
영어공식명칭 Busan Economic Promotion Agency, Foot Industrial Promotion Center
이칭/별칭 부산경제진흥원 신발산업진흥센터,신발산업진흥센터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산단382로14번길 55[송정동 1735-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연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기업 산업 지원 기관
전화 051-971-1700
홈페이지 부산경제진흥원 신발산업진흥센터(www.shoenet.org)
설립 시기/일시 2004년 3월 3일연표보기 - 개소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1월 22일 - 부산경제진흥원 부산신발산업진흥센터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3월 6일 - 2004 독일 GDS 전시회[국제 신발 액세서리 전시회] 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3월 17일 - 2005 독일 GDS 전시회[국제 신발 액세서리 전시회] 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6월 28일 - 2005 베트남 자재 전시회 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8월 4일 - 2005 미국 WSA[World Shoe Association] 전시회 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0월 18일 - 2005 일본 ISF[International Shoe & Leathergoods Fair] 전시회 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2월 2일 - 2005 부산 국제 신발 피혁 전시회 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11월 14일 - 2009 부산 국제 첨단 신발·부품 전시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4월 8일 - 세계로 나아가는 부산 신발 산업 행사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0월 13~15일 - 2010 부산 국제 첨단 신발·부품 전시회 개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0월 13~15일 - 2011 부산 국제 첨단 신발 부품 전시회 개최
최초 설립지 부산경제진흥원 부산신발산업진흥센터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산단382로 14번길 55
현 소재지 부산경제진흥원 부산신발산업진흥센터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산단382로 14번길 55[송정동 1735-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있는 부산경제진흥원 소속 기관.

[설립 목적]

1990년대 초반까지 한국의 대표적인 수출 주도산업이었던 신발 산업은 경제 성장과 수출 증대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해왔으나, 1980년대 후반 이후로 인건비 상승 등에 따른 해외로의 생산 설비 이전 가속화로 신발 생산의 기반이 약화되었다. 그러나 신발 산업의 위축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생산 기술, 소재 및 부품 부분에 있어서는 축적된 우수한 생산 제조 기술 및 노하우를 가지고 여전히 국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산광역시와 전략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에 근거하여, 한국 신발 산업의 취약점인 디자인, 제품 기획 및 마케팅 능력의 제고와 함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고, 완제품 성능평가, 마케팅 활동 강화를 통해 한국 신발산업의 기반을 형성하고자 신발산업진흥센터를 설립하였다.

[변천]

2004년 3월 3일 신발산업진흥센터가 개소하였으며, 2008년 1월 부산경제진흥원 설립과 함께 부설기관으로 편입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경제진흥원 신발산업센터는 신발업계의 공통 애로사항인 완제품 성능평가, 마케팅, 디자인, 시제품 개발 등을 One Stop Total Service로 지원하고, 국내외 신발정보 제공 및 경영지원을 통하여 경젱력 제고와 고부가가치화를 견인하고 있다.

신발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지원 사업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첫째, 2008년부터 신발 완제품 성능 평가 전문 연구팀 육성을 위하여 Korea Human Performance Laboratory[KHPL]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신발 센터의 KHPL은 신발의 생체 역학적, 운동 역학적 성능 평가를 위한 최신 장비를 도입하고 인력의 전문화를 꾀하여 한국 신발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자 한다.

둘째, 신발 명품화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해당 사업은 부산광역시가 글로벌 신발 브랜드를 육성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시작한 사업으로서, 신발 업체에 대한 첨단소재, 인체 공학적 설계, 디자인 개발, 생체 역학 기반 성능 평가 지원 등으로 세계적인 고부가 가치 명품 브랜드 육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총사업비 3억 9800만 원이 투자된 사업으로, 5종의 우리 신발 브랜드를 명품 브랜드로 만들기 위해 지원하며, 1개 업체당 개발 사업비를 6000만 원 이내에서 지원하고 있다. 2011년 현재 화승의 LECAF, 에이로의 A-RO, 광성아이엔디의 SRO, 학산의 VITRO, 트렉스타의 Treksta 등 5개가 선정되어 있다.

셋째, 업체의 축적된 아이디어와 노하우를 이끌어 센터가 보유하고 있는 인프라와 접목시켜 업체의 개발 경쟁력 향상, 차별화된 제품 개발, 국내외 마케팅을 지원하는 첨단 IT 공동 협력 개발 등에 관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해마다 네 개 업체를 선정하여 업체별 2000만 원 한도로 개발비의 75%를 지원하고 있다. 넷째, 신발 정보화 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해당 사업은 신발 정보 콘텐츠 제공 및 정보 시스템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신발 산업 지식 정보화를 선도하고 개발 기업의 정보화 경쟁력을 향상시키고자 수행하는 사업이다. 다섯째, 대표적인 해외 신발 전문 전시회 참가로 신발 업체의 신규 시장 개척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독일 GDS 전시회[국제 신발 액세서리 전시회], 미국 WSA[World Shoe Association] 전시회, 일본 ISF[International Shoe & Leather goods Fair] 등에 참가하고 있다.

여섯째, 신발 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디자인, 제품 설계, 시제품 개발, 성능 평가, 마케팅 기능을 총합하여 제품 개발에 따르는 애로 사항 및 신제품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신발 산업계 수요가 있는 신제품을 개발하고 센터 장비를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디자인, 제품 설계, 시제품, 성능 평가, 정보, 마케팅 등 6개 분야에 대해 지원하고 있다. 일곱째, 디자인팀을 활용하여 디자인 개발에 한계가 있는 중소 업체들을 지원하고 디자인 컨설팅 지원도 하고 있다. 여덟째, 한국의 국제적인 신발 산업 선도를 위하여 부산 국제 첨단 신발·부품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아홉째, 신발 산업 관련 연구소, 대학교 등과 연구 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현황]

신발산업진흥센터 소장 아래 5개의 팀[운영지원팀, 글로벌마케팅팀, 평가지원팀, 국내기반조성팀, 기술지원팀]과 2개의 위원회[운영위원회, 성능평가위원회]로 조직이 편성되어 있다. 센터 건립에 총사업비 317억 원[국비 171억원, 시비 146억원]이 소요되었으며, 총 부지 약 9,917㎡[3,000평]에 건물은 약 1만 946㎡[3,311평, 지상 3층] 규모이다. 2018년 2월에는 한국신발 홍보, 신발관련 체험행사 등을 운영하는 신발특화 문화거점인 한국신발관을 개관하였다. 또한 2019년 7월에는 신발산업 원스톰 산업스트림 복합지원을 통한 산업 고도화 추진을 위하여 첨단신발융합허브센터가 개소하였다.

[의의와 평가]

부산경제진흥원 신발산업진흥센터의 개소로 인해 노동 집약적이라고 생각되었던 부산 지역 신발 산업이 연구 개발 중심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탈바꿈하여 글로벌 신발 산업으로 재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1.09.24 업데이트 설립목적, 변천, 주요 사업과 업무, 현황 등 업데이트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